▲ 노상양 교수
울산대학교 전기공학부

[투데이에너지]요즈음 국내 풍력발전 산업기반 약화에 대한 우려가 크다.

풍력발전은 태양광발전과 함께 에너지전환의 핵심축을 담당하고 있다. 풍력발전은 전세계적으로 2018년에 51GW 설비가 신규 설치돼 누적 용량 590GW에 이른다.

국내는 매년 신규 설비 용량 200MW 이하로 총 1.3GW정도 풍력발전설비가 설치됐으나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16.5GW 규모의 신규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다양한 정책들을 수립하고 추진한 결과 태양광발전은 보급과 산업기반을 어느 정도 구축한 성과를 거뒀으나 풍력발전의 경우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2008년 9월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할 때만 해도 풍력발전타워·부품 등 중간제품은 중소·중견기업이, 시스템 완제품은 대기업이 맡아 상생·공존하는 산업구조를 형성하는 듯 했으나 그 이후 보급과 산업육성이 연계되지 못하고 여러 장애요인으로 원활한 보급이 지체되고 있다.

해상풍력발전의 경우 다른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이른 시기인 2010년 11월에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당초 서남해 해상에 100MW의 실증사업을 포함해 2.5GW 해상풍력발전설비를 올해까지 단계적으로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우여곡절 끝에 60MW 규모의 실증단지만을 개발해 올 연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국내 풍력발전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기술수준과 가격 경쟁력이 크게 뒤떨어진다.

선진업체들은 8MW 발전기를 상용화하고 12MW급에 도전하고 있지만 한국기업은 이제 3MW급을 상용화하고 8MW급을 개발 중에 있다. 국내 터빈 등 핵심부품은 경쟁력이 부족하나 타워, 단조부품은 글로벌 경쟁력을 다소 확보하고 있다.

입지규제, 주민 수용성 문제 등으로 인해 풍력발전 보급이 제한됨에 따라 사업 추진이 부진하다.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육상풍력사업중 입지 애로가 45%, 주민 수용성 문제가 20%를 차지하고 있다.

풍력발전은 주력산업인 조선·해양플랜트 등과 연계할 수 있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할 산업이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최근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글로벌 육상풍력발전 용량은 3배(1,787GW), 해상풍력발전은 10배(228GW) 증가하는 성장 동력원이라고 전망했다.

조선, 해양플랜트의 경쟁력에서 뒤진 대만도 우리보다 늦게 시작했지만 최근 128MW의 포모사1 해상풍력단지를 완공하는 등 2017년부터 풍력발전 4개년 추진계획에 따라 대규모 풍력발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글로벌 기업들이 국내외 풍력발전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국내기업의 사업 참여 기회가 미미하고 이에 따른 생산 감소로 인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풍력발전 산업기반의 붕괴가 우려된다.

덴마크 등 풍력발전 강국들이 국내에서 마켓팅 행사를 봇물처럼 개최하는 것을 보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각축장이 돼가는 국내 풍력발전시장에서 국내기업들의 존재에 대한 위기감을 느낀다.

약해진 국내 풍력발전산업을 육성하기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그동안 풍력발전의 확대 보급과 산업육성을 위해 많은 대책들이 발표돼 왔다.

입지 규제 개선, 수용성 제고, 계통연계, 환경성 사전 검토 강화, 국산설비 사용 확대 등 문제점과 해결 방안은 전부 도출됐다. 4월에 발표된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8월의 ‘육상풍력발전 활성화 방안’ 등 발표된 시책들을 확실히 추진해 풍력발전 산업기반이 확충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정부 시책의 실행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예산 확보, 시책의 지속성 담보도 중요하다.

특히 경쟁력이 약한 국내산 풍력발전설비가 시장에 뿌리를 내릴수 있도록 세밀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한다.

앞으로 풍력발전추진지원단을 설치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니 발전사업허가 소요기간 단축, 수용성 제고 등 실질적인 성과를 기대한다.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풍력발전산업이 신성장 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과 이해가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