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수소경제를 앞당겨 실현하기 위해 정부가 전력 투구하는 모습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과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경제성을 확보해야 한다.

수소충전소 입지 조건을 완화하고 안전성을 높여 주민 주민성을 높여 인프라를 갖춰야 하는 것은 수소경제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모자람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주유소, 충전소 등 이미 구축돼 있는 시설을 수소충전소로 전환하거나 복층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중요하다.

휘발유와 경유, LPG 등 기존 화석연료가 조기 퇴출되는 상황이 해당 업계에서는 반가울리 없지만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세계적 추세에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숙명이다.

하지만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 상황이 그렇게 밝지만 않은 것이 현실이다. 정부가 올해말까지 구축할 예정인 169기의 수소충전소를 갖추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6월말 현재 이미 구축된 39기의 수소충전소가 아무런 고장없이 제대로 운영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정부가 목표 내지 계획과 달리 현실은 토끼 걸음이 아닌 거북이 걸음에 머물고 있다.

수소산업이 하루빨리 육성되기 위해서는 경제성도 뒷받침돼야 한다.

관련 기술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 차량과 충전소 구축이 용이한 저장탱크, 밸브 등 부품 개발도 진행돼야 한다.

kg당 8,000원 수준인 수소가격도 낮춰야 한다.

화석연료에서 추출하는 수준의 그레이 수소가 아니라 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포집해 활용하는 ‘블루(Blue) 수소충전소’와 바이오가스, 재생에너지를 통해 수소를 생산하도록 해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그린(Green) 수소충전소’가 중점적으로 확대 보급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가운데 수소충전소를 건설할 때 발생하게 될 운영 수익이 주유소나 LPG충전소 등을 뛰어넘거나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어야 한다.

아직 시작 단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비록 경제성은 낮더라도 향후 발전 가능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수소사회는 우리 곁에 생각보다 늦게 다가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수소 충전 인프라와 경제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정부의 관심이 높고 지원도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사업성으로서 메리트가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발굴과 장애 요인 해소가 서둘러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