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신고리원전 5·6호기 준공 이후 송전선로에 문제가 생길 경우 5GW 규모의 광역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지난 2011년 9·15 순환정전 사태보다 5배 큰 규모다.

문제는 송전선로 고장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동주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신고리 5·6호기 준공대비 고리-새울본부 소외전력계통 건설 기본계획’에 따르면 신고리 5·6호기 준공 이후 신고리 1~6호기와 연결된 765kV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2회선이 고장날 경우 신고리 1~4호기와 5기까지 가동이 중단된다. 

이어서 전국 수요의 6%에 해당하는 부하가 차단돼 5GW 규모의 광역정전이 발생한다. 

송·변전설비 고장 원인은 대부분 자연재해다. 

이달 초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의 영향으로 원전 8기에서 소외전력계통 문제가 발생했다.

강풍이 동반한 염분이 전력설비에 흡착되거나 강풍으로 송전탑 근처 점퍼선이 철탑구조물에 가까워지면서 순간적으로 불꽃이 튀었다. 이어서 소외전원 공급이 차단됐다. 점퍼선은 원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송전탑으로 보내는 전선이며 소외전원은 원전이 가동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받는 전력을 말한다. 

내부 문서에 따르면 신고리 5·6호기 준공 이전에는 송전선로 2회선 고장이 발생해도 3·4호기 중 1개의 원전만 가동을 중단하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신고리 5·6호기 준공 이후에는 신고리 1·2·3·4·5호기 모두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 한 곳에 여러 발전기(다수호기)가 중단되면 대규모 광역정전을 피할 수 없다. ‘다수호기’가 ‘대규모 블랙아웃’을 발생시킴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지난 2016년 6월 23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한수원이 신청한 신고리 5·6호기의 건설을 허가했지만 이날 의결한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안)을 확인한 결과 다수호기의 소외전력계통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 

당시 다수호기 위험성 분야 실무검토위원회는 ‘신고리 5·6호기는 법령상 기준에 따라 다수호기의 정상 운전과 개별 원전의 사고가 반영됐으므로 다수호기의 안전성은 확보됨을 확인’했다고 결론지었다. 

지난달 25일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태풍(마이삭, 하이선)으로 인한 원전사건 조사결과’ 역시 다수호기 고장에 의한 대규모 정전 대비책은 나오지 않았다.

한수원은 4년이 지나서야 광역정전과 발전정지 예방을 위한 소외전력계통 건설 기본계획을 세웠다. 한수원은 ‘신고리 5·6호기 준공 이후 소외전력계통 건설 계획’으로 고리본부 유휴부지에 무효전력보상설비를 설치하고 새울본부 내 345/154kV 변전소를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이동주 의원은 “올해 기후위기로 인한 자연재해가 원전 8기 소외전력계통에 문제를 일으켜 일부 원전이 가동을 정지했다”라며 “원안위가 검토 당시 다수호기 위험성을 검토하면서 이러한 소외전력계통 문제는 다루지 않아 한수원이 뒤늦게 후속조치를 하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이 의원은 “원전 안전성 문제는 불가역적이기 때문에 한 치의 빈틈이 있어서는 안 된다”라며 “특히 기후위기 시대에 원전 다수호기는 위험성이 배가 될 수 있어 철저한 안전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