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바이오디젤 혼합비율은 높이고 폐식용유·동물성유지 사용을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그 이유는 바이오디젤 원료의 65%를 수입에 의존하고 수입 BD의 88%가 팜유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경만 의원은 “온실가스 감축의 일환으로 바이오디젤 활성화를 위해 유럽처럼 신재생연료 의무 혼합비율을 높이고 수입 팜유 대신 폐식용유·동물성유지 사용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미국의 정유사들이 원유 정제시설을 바이오디젤 생산 공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석유제품 소비가 감소함에 따라 기존 시설의 가동률이 떨어지자 장기적인 원유 수요 감소에 대비한 것도 있지만 미국 정부가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바이오디젤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폐식용유나 동물유지 등을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율은 83%로 매우 높고 국내에서도 연간 16만톤 이상의 폐식용유를 처리해 연간 2,7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만큼 친환경적인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온실가스 감축의 일환으로 지난 2007년부터 수송용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의무적으로 혼합하도록 하는 신재생연료 의무혼합제(RFS)를 시행하고 있지만 바이오디젤 원료의 65%를 수입에 의존하고 수입 원료의 88%가 팜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팜유 농장을 조성하기 위해 열대우림을 파괴해서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감소하고 재배 과정에서 비료나 농기계 사용 등을 감안하면 오히려 팜유 사용으로 온실가스를 더 배출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같은 문제 때문에 2016년 EU집행위원회는 “팜유로 만든 바이오디젤이 디젤유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3배 더 크다”라며 18년 유럽의회, 팜유를 원료로 만든 바이오연료 사용 금지지킨 바 있다.

김경만 의원은 “온실가스를 더 배출하는 수입 팜유로 바이오디젤을 만드는 것은 탄소 중립 사회와 그린 뉴딜을 실천하고 있는 정부 정책과 거꾸로 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경만 의원은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적극 동참하는 한편 수입 팜유 사용을 억제하고, 국산 폐식용유와 동물성유지 사용을 촉진하는 노력을 지속 추진해야 한다”라며 “에너지공단이 업계와 협의해서 협력체계 강화 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그는 “우리나라 의무혼합비율(3%)은 7~9%에 달하는 유럽에 비해 여전히 낮다”라며  “산업부가 확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올해말로 경유에 3.0%의 바이오디젤 혼합률을 내년부터 조정해야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감소한 석유수요와 정유업계의 부담 증가 등의 문제로 DB 혼합률을 정부가 확대 조정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RFS(Renewable Fuel Standards)란 바이오디젤 혼합의무자인 정유사에게 일정 비율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연료인 바이오디젤을 수송용 연료인 경유에 혼합해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를 말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