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홍시현 기자] 수소차 충전소 설치율 지역별 편차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수진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상북도의 경우에는 수소충전소가 1개 밖에 없지만 등록된 수소차가 8대여서 차량 1개당 1일 수소 충전 가능용량은 32.25kg으로 가장 컸다. 하지만 이에 비해 강원은 0.43kg, 부산 0.6kg, 인천 0.78kg, 대전 0.89kg 순으로 작았다. 강원도의 경우 삼척지역에만 충전소가 1개 있다. 결국 강원도의 경우 수소차 충전을 위해 경기도까지 원정 충전을 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수소차 충전소 설치를 위해 노력했지만 아직까지 그 실적은 미미하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2020년 말까지 총 111개의 수소차 충전소가 설치돼야 하지만 수소차 충전소는 올해 8월 말 기준 47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렇게 수소차 충전소가 설치되지 않은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수소차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주민들의 반대와 수소차 충전소가 적자 운영 상태라서 지방자치단체나 민간 기업의 시장 진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수소차는 수소폭탄’이라고 말하며 이를 반대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잘못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미국 화학공학회에 따르면 수소의 위험도를 1이라고 할 때 휘발유는 1.44, LPG는 1.22 도시가스는 1.03으로 오히려 수소는 안전한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에는 국회에도 수소차 충전소가 설치돼 시민들의 인식은 점차 바뀌고 있다.

수소차 충전소 설치가 어려운 더 중요한 이유는 현재의 수소차 충전 시장 구조에서 비롯한다. 현재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는 높은 수소원료 공급가, 인건비, 전기료 등으로 연간 평균 1억5,000만원의 적자가 나고 있다. 수소차 충전소 설치 이후에도 운영보조금을 일정 기간 보조해야 수소차 충전소가 확대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가 많아지면 단계적으로 운영비도 감소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다른 나라들은 수소차 충전소 설치 이후에도 운영비 지원으로 초기 인프라 확대에 힘쓰고 있다.

이수진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국은 수소차 충전소 설치 이후 최대 3년 동안 운영비의 60~100%를 보조하고 있고 영국은 50%, 일본은 전년도 운영비의 3분의 2를 지원(상한액 2,200만원)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수소차 충전소 초기 인프라 확충을 위해 일정 기간, 일정 비율 동안 운영보조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 의원은 “기후 위기 시대에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수소차를 확대해야 하지만 현재의 시장에만 맡겨 놓는 방식으로는 수소차 충전소 인프라 확대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우리나라도 수소차 충전소 설치 후에 일정 기간, 일정 비율의 운영비 지원을 통해 수소차 충전소 설치를 확대해야 히먀 공공기관에서 우선적으로 수소차 충전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 빠른 시일 내에 수소차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라며 정책 제안을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