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에너지사용을 줄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석탄, 석유, 가스 등 주요 화석연료 비중을 낮추고 재생에너지와 수소로의 전환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전기차와 수소차로 대표되는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시작되고 세계 각국에서는 지원 정책으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정부는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를 310기, 2025년까지 450기를 구축한다는 목표 아래 정책적 지원을 구체화시키고 있다. 

반면, 전국에 54기에 그치는 수소충전소 숫자는 현재 턱없이 부족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2016년 87대에 불과했던 수소차는 올해 9월 현재 9,464대로 크게 늘어났지만 친환경차 확산을 위한 인프라는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휘발유나 경유, LPG 등의 차량에 비해 수소차가 여전히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문제 해결은 인프라 구축에 있다고 판단 아래 LPG수입 및 정유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주유소와 LPG충전소에서 수소도 충전할 수 있는 복합충전소 114개 구축키로 했다. 

여기에다 매년 평균 1억5,000만원 안팎의 적자가 발생하는 수소충전소 운영비를 낮추기 위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료 구입비를 2025년까지 지원해 경제성은 물론 사업성을 높인다는 계획은 환영할만한 일이다. 

하지만 수소충전소에 대한 주민 민원과 반대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의 인허가권을 환경부로 상향시키겠다는 것은 지방자치시대로 이양된 권한을 중앙 정부가 다시 행사하겠다는 조치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정부의 계획대로 인프라 구축에 속도가 나지 않고 한국판 그린뉴딜에 대한 성과를 조기에 이루겠다는 뜻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급하다고 바늘 허리에 실을 매어 쓰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아닐 수 없다.

주유소, LPG충전소와 마찬가지로 수소충전소는 수소경제를 위한 기반시설로 생활 환경 곳곳에 마주하고 친숙해야 한다. 주민 수용성이 뒷받침되지 않는 가운데 우리 생활 주변에 들어서게 될 수소충전소는 또다른 갈등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농후하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은 안전과 경제성, 사업성 및 주민 수용성이 종합돼 보다 구체화될 때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가스안전에 대한 성숙한 의식도 바로 잡히게 된다는 점이 고려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