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는 화력, 풍력, 태양광 등으로 만들어진 잉여전력을 모아 보관했다가 가정이나 공장, 빌딩 등 필요한 곳에 공급한다. 날씨 등의 영향을 받는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인 미래 유망사업이다.  

하지만 연이은 ESS화재는 ESS산업의 위기로 이어졌다. 최근에는 설상가상으로 정부가 재생에너지에 ESS를 설치할 경우 REC의 가중치 부여 제도를 없애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어 과연 ESS산업의 미래가 우려되지 않을 수 없다.

ESS업계에서는 도산 위기에 처한 ESS산업을 살리기 위한 조치가 시급하고 강조하는 이유가 상황이 이렇기 때문이다.

2017년 말부터 전국에서 잇달아 발생한 ESS화재로 2019년 1월 발족한 민·관합동조사단이 내놓은 조사결과는 ESS 배터리 문제가 아닌 PCS, BMS 등 주변기기의 관리 부족을 주요 원인이었다. 하지만 2차 조사단에서는 화재 주요 요인으로 ESS 배터리 셀을 화재 발화 지점으로 발표했다. 1차와 2차 조사결과 내용이 정반대로 나온 것이다. 우왕좌왕하는 결과로 인해 ESS의 안전성 및 신뢰성 저하를 자초했다. 이후 아직까지 ESS 충전 잔량을 80~90%로 낮추라는 대안 말고는 이렇다 할 만한 대안은 없다.  

정부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그린뉴딜은 핵심은 재생에너지 활용이다.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위해서는 ESS가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ESS산업이 정상적인 역할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2050년 100% 재생에너지 시대 구현을 위해서는 낮과 밤의 전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ESS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으로 정부의 지속가능한 정책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업계의 주장처럼 컨트롤타워를 고민해야 한다. ESS와 관련된 재생에너지, 전력수급, 안전대책, 보급정책, 부품소재, 표준 및 인증, 소방 등 전문화된 유관부서를 통합해  전반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조절하는 총괄부서가 필요하다.

RPS제도는 ESS산업 성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RPS 초기에는 REC가격이 높았으나 현재는 재생에너지 공급이 늘어나며 REC가격이 폭락해 ESS 역시 위태로운 상황에 빠졌다.

앞으로 ESS 활용도는 넓혀야 하지만 여건이 만만치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민·관이 중지를 모아 ESS 활성화에 나서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