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경쟁력에 밀리는 LPG용기를 고집하는 것보다는 시대 변화에 발맞춰 소형LPG저장탱크 설치 및 보급 확대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갖춰 경쟁력을 높여 시대 변화에 걸맞는 LPG판매사업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때입니다”

김정도 인천시가스판매업협동조합 이사장은 “20~30년 이상 LPG판매업계를 지탱해 왔던 용기시대가 사실상 저물고 소형LPG저장탱크 시대로 전환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LPG사업자 스스로 살길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LPG판매협회중앙회에서 정보화사업 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김정도 이사장은 정부가 경제성없는 지역에까지 도시가스 연료전환을 하고 있는 이 때 LPG판매업계가 기존 시스템만을 고집하는 것은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 때문에 마을 또는 군단위 LPG배관망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을 통해 소형LPG저장탱크를 설치하고 있는데 판매업계에 도움이 된다고 LPG용기만을 희망하고 고집하는 것은 LPG판매사업자에게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전기, 도시가스 등 특정 연료에 대한 정부의 지원에 불합리한 측면도 적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정도 이사장은 “1980년대 kg당 4.5원의 가스안전관리자금을 LPG용기 사용자로부터 걷어 도시가스 배관 설치를 위해 장기 저리로 융자 지원해 줬듯 이제는 LPG사용자를 위한 정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서울, 인천, 부산 등 주요 도심지역의 도시가스 보급률이 90%를 넘어서고 있는 가운데 석유와 LPG 등 도시가스가 보급되지 않는 지역 주민을 위한 정부의 정책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형평성 측면이나 사회 제도적 측면에서도 올바른 방향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 일환으로 LPG용기와 마찬가지로 소형LPG저장탱크에 지역제한 도입을 제안했다.

LPG사고가 발생했을 때 즉시 출동하고 긴급 사고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가까운 곳에 LPG를 공급하는 거래처가 있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서울에 LPG판매소가 있는데 광주나 경북, 제주도 등에 LPG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안전점검이나 사고시 비상연락망을 가동해 긴급출동을 통한 초기 사고진화 및 대응을 하지 않겠다는 것과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물론 가스안전공사에서도 전체 가스사고에서 LPG사고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점을 알고 있는데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한 이런 정책과 제도를 도입하고 시행하지 않는지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사고율을 낮추고 자율 안전관리를 높이기 위해 LPG판매업계는 원격검침 등 안전관리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적이고 보다 안전한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투자하고 노력하는데 이에 상응한 관리지원 체계를 정부와 측면에서 도와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90%가 넘는 비율이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이고 도서벽지, 음식점 등 일부지역과 계층에서 LPG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나마도 코로나19로 사용량이 많은 음식점 등이 사회적 거리두기로 LPG사용량이 떨어지면서 LPG판매업계도 가스사용 대금 지연에 따른 어려움이 적지 않다고 호소했다.

김정도 이사장은 “법과 제도가 아무리 좋다고 하지만 현실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 것철며 난방 및 차량용으로 저소득층이 사용하는 LPG에도 정부의 관심과 지원 대책이 이제는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LPG업계도 중앙회와 각 지방조합을 중심으로 비영리성에 그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수익사업과 협력을 통해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