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산업체와 음식점 등의 수요 감소로 전국 대부분의 지역이 LPG판매량이 감소했지만 충전 및 LPG판매사업자 숫자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소형LPG저장탱크를 통한 집단공급시설이나 일반 주택이 많은 제주도를 비롯한 도시가스 공급이 많지 않은 지방도시의 경우 LPG판매량이 늘어나는 모습이지만 사용량이 많지 않아 LPG판매량 증가를 견인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집계한 충전, 판매 등 LPG유통부문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총 336곳으로 전년 292곳에 비해 44곳이 증가했다.

충전소의 경우 신규허가가 63곳, 허가대기 16곳으로 전년 신규허가 59곳, 허가대기 29곳에 비해 각각 4곳, 13곳이 늘었다.

LPG판매소는 지난해 신규허가가 200곳으로 전년 139곳에 비해 61곳 늘었지만 허가대기는  57곳으로 전년  65곳에 비해 8곳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82곳의 충전 및 LPG판매소 신규허가 및 허가 대기업체가 가장 많았다.

땅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도심 외곽지역으로 산업체나 음식점 등이 밀려나면서 LPG판매량이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신규 LPG업체의 등장도 늘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도 지역 충전소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는 16곳으로 2019년과 동일한 수치를 나타냈지만 LPG판매소는 신규허가가 39곳, 허가대기가 27곳으로 전년 33곳, 19곳에 비해 각각 6개와 8개가 증가했다.

뒤를 이어 경북이 45곳으로 충전소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는 10곳에 그쳤지만 LPG판매소는 신규허가가 23곳, 허가대기가 12곳으로 전년 총 38개소에 비해 7곳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경남지역은 충전소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가 10곳이었던 바면 LPG판매소는 신규허가가 28곳, 허가대기가 2곳으로 총 30개의 LPG판매소가 등장했거나 등장을 앞두고 있다.

충남의 충전, LPG판매소 허가 및 허가대기는 총 28곳으로 충전소 신규허가가 4곳, 허가대기는 없었으며 LPG판매소 신규허가는 22곳, 허가대기 2곳 등 24곳의 업체가  LPG시장에 진입했거나 준비중인 상태다.

전북은 충전소 신규허가가 5곳이었던 반면 LPG판매소 신규허가는 16곳, 허가대기가 3곳이었으며 제주도는 충전소 신규허가가 3곳, LPG판매소 신규허가가 18곳, 허가대기가 1곳으로 19곳의 LPG판매소 등장을 예고했다.

강원도는 총 18곳에 이르는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업체가 있었던 가운데 충전소는 신규허가가 8곳이었으며 LPG판매소 신규허가는 9곳, 허가대기 1곳 등 모두 10곳의 LPG판매소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17개의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업체가 있었던 가운데 충전소 신규허가가 6곳, 허가대기 3곳 LPG판매소는 신규허가만 8곳이었다.

충북은 총 14곳의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업체로 충전소의 경우 3곳, LPG판매소는 11곳의 업체였으며 전남은 충전소 신규허가 2곳, LPG판매소 신규허가 10곳, 허가대기 1곳으로 11곳의 LPG판매소 등장이 예고됐다.

도시가스 보급률이 가장 높은 서울의 신규허가가 2곳이었던 가운데 울산광주가 3곳, 세종 4곳, 대구 6곳, 대전 7곳, 부산 8곳의 업체가 새롭게 등장했거나 등장을 앞두고 있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잠정 4,592곳에 달하는 LPG판매소와 2,000개를 약간 웃도는 충전소가 판매량 감소에 대비해 줄여하는 상황이지만 충전과 LPG판매 신규허가 및 허가대기업체는 여전히 줄지 않고 증가세를 나타내 우려의 시선이 적지 않다.

LPG용기 시장을 소형LPG저장탱크가 대체하면서 벌크로리를 통해 적은 인력으로 많은 물량을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각종 경비를 줄이는 대신 차량과 소형저장탱크 구입을 위한 투자비는 오히려 늘어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신규 충전, LPG판매소가 시장에 진입하게 되면 그렇지 않아도 거래처 유치를 위해 서로 물량을 뺏고 빼기는 치열한 경쟁에 내몰리게 돼 사업자간 제살 깎아먹기 현상만 부추길 우려가 적지 않다. 

특히 도시가스가 보급되지 않는 지역에는 용기 대신 LPG저장탱크를 이용한 배관망 사업이 앞으로 1,000가구 안팎의 읍면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중이어서 규모가 큰 충전 및 LPG판매소는 살아남을 수 있지만 영세 LPG사업자는 폐업 내지 통폐합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도 정부에서도 충전, 판매 등 LPG업계의 대형화 내지 집단화 방안은 물론 배송센터 도입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중이어서 빠르면 이달말, 늦어지면 내달 초중순에는 향후 정부 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게 되면 LPG공급자 감축에 따른 사업자간 진통이 따를 것으로 예측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