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최근 국내 에너지전환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해상풍력발전이 성공적으로 국내에 자리잡기 위해서는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현재 해상풍력사업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국내기업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되기에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소 2021~2022년은 돼야 각 해상풍력발전단지별 착공이 시작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 더 큰 문제는 이 분석이 현재 추진 중인 각종 해상풍력 추진계획이 인허가 등 절차과정에서 지연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진행됐다는 점이다.

즉 정부와 지자체가 지역주민들의 수용성을 높여가면서 해상풍력을 확대해나가겠다는 의지와 방법이 조금이라도 틀려질 경우 국내 해상풍력사업의 활성화 시기가 몇년 이상 늦춰질 수도 있다는 의미기도 하다.

이는 풍력, 특히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도 한 몫 할 것이다. 실제 해상이 아닌 육상풍력발전단지를 기준으로 보더라도 인허가기간을 빼고서 최소 1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설계단계부터 준비를 시작한다. 물론 단지 규모에 따라서 이 기간에는 차이점이 있지만 인허가 기간을 포함해 상업운전을 시작하기까지는 최소 2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중간의 인허가 및 주민수용성 확보 과정에서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협의가 원만히 이뤄졌을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다.

주로 산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추운 겨울에는 작업 자체가 진행되기 어려운 점도 있다. 여기에 해상풍력이 될 경우에는 바다에서의 안전한 공사를 위해 작업장비와 인원을 태운 작업선이 출발하는 시기도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 조성기간은 더욱 길어질 수밖에 없다.

실제 정부가 추진 중인 영광 해상풍력 테스트베드의 경우에도 실제 해상환경에서 발전기를 가동할 수 있는 환경을 업계에 제공하기 위해 구축 중인데 단계별로 최소 1~2년 이상의 공사기간을 필요로 할 정도다.  

즉 지금 서두르지 않으면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만 난무할 뿐 막상 공사는 시작도 못하고 흐지부지되는 상황이 앞으로 사업 추진과정에서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가 R&D 확대와 관련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원을 약속한 만큼 이 약속이 실제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꼼꼼한 점검이 필요한 이유다. 그 과정에서 주민수용성 확보와 기술개발은 당연히 필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