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태양광발전이 매년 정부의 목표치 이상 설치되는 반면 풍력의 경우 매년 극소수의 보급량만 달성하고 있어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큰 기여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현재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 중인 해상풍력사업들이 예정대로 추진되지 못할 경우 간신히 살아남은 국내 제조기업들이 끝내는 무너질 위험성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풍력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준공을 완료하고 상업가동을 개시한 풍력발전단지 규모는 총 160.5MW로 2019년 150.3MW대비 극소수 늘었다. 2020년 정부의 각종 정책발표에도 보급량이 크게 늘지 않는 현실이 아직 바뀌지 않은 것이다.

반면 태양광은 매년 보급량이 급속 확대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최근 공개한 신재생에너지 신규 보급용량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누적 신재생에너지 보급용량은 3,657.9MW로 이 중 태양광은 3,283.6MW를 차지한 상황이다. 아직 집계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태양광은 2020년 3,500MW 규모 이상을 보급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이번 집계기준은 완공 이후 REC를 발급받기 위한 상업가동을 개시한 시점으로 RPS(사업용) 및 공단 보급사업(자가용) 실적 기준이다.

태양광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되는 반면 풍력의 경우 침체된 산업의 분위기를 반영하듯 설치량이 적은 상황이며 올해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문제는 지난해 신규로 착공에 들어간 풍력발전단지가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2021년에도 큰 폭의 성장세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단지가 완공되는 시점이 1년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올해부터 적극적으로 육상 및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해나가는 흐름이 진행되지 않으면 2022년도 이후에는 더 어려운 상황이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최근 정부와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국내 에너지전환의 핵심으로 해상풍력발전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성공적으로 아직 국내에 자리잡기 위한 시작단계이기 때문에 당분간 국내 풍력기업들의 수익성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그나마 국내 풍력시스템 제조기업들이 해외 수출 등을 기반으로 조금씩 버티고는 있지만 해상풍력이 본격적으로 사업으로 추진되기에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단순히 업체의 노력에만 기대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풍력산업은 발전기뿐만 아니라 관련된 블레이드, 타워 등 각종 기자재를 생산하는 제조업체들도 극소수만 생존하고 있고 그나마 해외 수출물량을 유지하고 새롭게 시장을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인해 버티고 있는 상황이다.

최소 2022년은 돼야 각 해상풍력발전단지별 착공이 시작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 향후 해상풍력사업에서 국내 제조기업들이 해외기업들에게 시장을 내주지 않기 위해선 현재 추진 중인 각종 해상풍력사업계획이 인허가 등 절차과정에서 불필요한 이유로 지연되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즉 정부와 지자체가 지역주민들의 수용성을 높여가면서 해상풍력을 확대해나가겠다는 의지와 방법이 조금이라도 틀려질 경우 국내 해상풍력사업의 활성화 시기가 몇년 이상 늦춰질 수도 있으며 이는 곧 국내 풍력 제조기업들이 무너지는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입지규제와 민원 등의 문제로 침체기를 겪어온 풍력산업의 현실을 감안해 지난 몇년간은 100MW 규모를 넘긴 것도 선전했다는 평가가 가능했지만 향후 국내에서 신규로 착공될 해상풍력발전단지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극소수의 풍력보급 현실을 그냥 좌시해서는 안되는 상황이다.

특히 국내 풍력산업의 내수시장에서의 사업 확대가 사실상 발목을 잡힌 상황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인 노력이 올해  집중적으로 추진되지 않을 경우 국내에서 진행되는 해상풍력 등 각종 발전단지로 인한 혜택을 해외기업에게 내줄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성도 높아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