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한 내륙습지 소멸 예측결과.
기후변화로 인한 내륙습지 소멸 예측결과.

[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온실가스 감축을 못해 기후변화가 악화될 경우 국내 야생동식물종 소멸 등 생태계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박용목)은 지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생태계에 어떤 피해가 발생할지에 관한 연구 자료집을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평가한 것으로 국내에 서식하는 야생동식물(5,700여종), 내륙습지(약 2,500지역), 수생태계 담수지역(약 800개), 갯벌(162개)과 산림(약 6만km²)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또한 △21세기 말까지 전세계적으로 기존(2017년 기준)과 동일한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돼 1880년대비 한반도 기온 상승이 평균 4.5℃ 이상이 되는 ‘온실가스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와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상당히 실현돼 1880년대비 한반도 기온 상승이 평균 2.9℃ 정도로 제한되는 ‘온실가스를 적극 감축할 경우’ 등 2가지 주요 시나리오를 적용해 우리나라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고 미래 피해상황을 진단했다.

국립생태원이 이번 2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생물종 부작용, 외래종·교란종에 의한 피해 등을 유형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온실가스 감축 없이 현재대로 배출될 경우 급격한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될 수 있는 생물종은 국내조사 자료가 확보된 전체 약 5,700여 종 중 336종(약 6%)에 달했다.

이는 온실가스를 적극 감축할 경우에 비해 5배나 더 많은 수치로 서식지 이동이 쉽지 않은 구슬다슬기, 참재첩 등 담수생태계에 서식하는 저서무척추동물종이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은 주로 습지나 수생태계에서 외래종에 의한 생태계 교란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예측된다. 국립생태원은 온도상승이 아열대·열대 지방에서 유래된 뉴트리아, 큰입배스 등 외래종의 서식지가 확산될 수 있는 기후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뉴트리아에 의한 피해 예상 내륙습지 수는 온실가스 적극 감축 시 32개, 그렇지 않을 경우 120개(국내 2,500여개 중 약 5%)로 약 4배에 달하는 생태계 교란 피해 차이가 예측된다.

국립생태원은 기후변화가 극한의 가뭄현상 발생건수도 증가시켜 내륙습지 소멸의 원인이 된다고 강조했다. 온실가스를 적극적으로 감축할 시 그 피해가 22개에 그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657개(국내 총 2,500여개 중 약 26%)의 내륙습지가 소멸 위험에 노출될 것으로 예측돼 약 30배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소멸 위험이 큰 습지는 무제치늪, 대암산 용늪 등과 같이 높은 지대에 위치해 물 공급이 제한적인 산지습지들이 대부분이었다. 산지습지는 탄소 저장능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 지역의 소멸은 탄소 배출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 자료집은 3월12일부터 국립생태원 누리집(www.nie.re.kr)에 전문이 공개되며 인쇄물은 3월 중으로 전국 유관기관 및 도서관에 배포될 예정이다.

박용목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피해를 중심으로 진단했지만 이러한 피해가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라며 “예측된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하고 우리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