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비나 참석자들이 패널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웨비나 참석자들이 패널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할 순 있지만 이를 위해선 재생에너지를 500GW 이상 설치해야 하며 확대를 위한 속도를 내야한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지난 1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성환 의원실과 Agora Energiwende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사)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가 주관한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 발표: 섹터커플링의 역할’ 국제 웨비나에서 권필석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은 2050년 기후중립은 가능하지만 상당한 수준의 재생에너지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단순히 목표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설치에 속도를 내야한다는 것이다.

권필석 소장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태양광 367GW 이상, 풍력 132GW 등 최소 500GW의 재생에너지 설치가 필요하다”라며 “2050년까지 연간 17GW 이상의 재생에너지를 설치할 필요성이 높다는 의미인데 현재 재생에너지 확대 속도는 2019년 3.5GW, 2020년 3.4GW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재생에너지를 위한 전력망 인프라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권필석 소장은 “국내 에너지소비는 아직까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온실가스 배출은 현재도 증가하는 추세로 최종에너지 수요는 2,374TWh로 산업, 건물, 수송부문의 순으로 각각 63% 19.6% 17.5%를 차지하고 있다”라며 “에너지원별로 석유, 석탄, 도시가스 등 화석연료가 전체 소비의 75.1%를 차지하고 전력은 20.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재생에너지의 경우 태양광설비용량은 거의 유사한 추세로 증가하며 풍력발전은 2040년부터 급격히 보급이 확산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권 소장은 정책적인 탄소배출 제약이 적극적으로 적용될 경우 꾸준히 증가해나가고 있는 재생에너지발전량이 2035~2040년 사이 화석연료 발전량을 초월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권 소장은 “2020년 수송부문 에너지소비량은 약 410TWh로 99% 이상이 화석연료로 구성됐으나 2040년 전기차, 수소차 등의 증가를 통한 탈내연기관을 통해 2050년 수송부문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93.6TWh로 감소할 전망”이라며 “2020년 수송부문에서의 최종에너지수요는 총 수요의 17.4%를 차지했으나 2050년 총 에너지수요에서의 비중은 8.3%로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향후 탈탄소화 전략에서 재생에너지 변동성을 보완하기 위한 설비로 전력운영시스템과 P2X등 유연성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소장은 “재생에너지 설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유연성 설비의 보급도 맞춰서 증가할 것이며 일정수준의 재생에너지 설비 확보 후에는 유연성설비의 보급이 더욱 중요하다”라며 “특히 완전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대규모의 에너지저장설비를 마련해야 하는데 이는 장마 등 계절적 요인에 따라 재생에너지 이용률이 특정기간 낮아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권 소장은 “여름에 재생에너지 공급이 수요를 넘을 경우 전기차 충전, 열생산, 배터리, 수전해 등의 유연성 기술들의 운영을 통해 전력 수급을 해결할 수 있으며 겨울의 경우 여름에 비해 히트펌프와 전기보일러 등의 열부문과 전력부문의 연계부문 활성화가 안정적인 전력수급기반을 유지할 것”이라며 “수소는 필수적인 자원이지만 과도한 목표는 전력→수소→전력의 사이클에서 상당한 에너지손실이 발생하는 등 시스템 효율성 저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는 만큼 전력화 및 수소인프라 확대 계획은 재생에너지 확대 일정에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패널토론에서 참석자들은 미래 에너지시스템의 경우 현재보다 소비자의 참여와 사회적 수용성이 더 필요하고 에너지 시장 참여자가 많아지기 때문에 조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조율은 시장에서의 적절한 가격체제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김승완 충남대학교 교수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 재생에너지를 비용 효율적으로 보급하는데 집중해야한다”라며 “재생에너지 보급의 현실적 어려움을 대비하기 위해 수소를 포함한 다양한 저탄소 전원을 검토할 필요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 “탄소중립을 위해 인프라 확대 및 부문간 통합 등 기술적 노력과 함께 특히 사회적 소통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화석연료 비중을 줄이기 위한 과감한 탈탄소 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