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탄소경제를 수소경제로 전환시켜 나가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노력들이 펼쳐지고 있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2040년까지 수소차를 620만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는 1,200개소를 구축할 것이라는 계획을 내놓았다. 

또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통해 2050년까지 수소충전소를 현재 LPG충전소 수준인 2,000개소까지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단계적으로는 내년에 310개소, 2030년까지 660개소를 보급해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인 셈이다. 

하지만 현재 수소충전소 건설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실적이 저조한 수준이다. 

안전에 대한 지역주민의 반대로 충전소가 들어설 마땅한 부지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수소 및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통해 수소·전기차 충전소 구축을 위한 마중물을 마련하겠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지만 경제성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독자적인 기술이 부족해 관련 부품 수입으로 인한 로얄티 지급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전을 위한 대기시간이 많아 이용자들의 불편이 많은데 충전가격도 그렇게 저렴하지 않아 호불호가 엇갈리는 실정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미세먼지를 줄이려는 환경과 미래 신사업을 통한 새로운 먹거리를 붙잡아야 하기 때문에 전 세계가 시장 선점을 위해 각축을 벌이는 상황에서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점은 분명하다. 

하지만 수소 또는 전기차 충전소를 운영함에 따르는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고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 

석유와 LPG관련 기업에서도 수소와 전기차 사업을 정관에 새롭게 반영했지만 환경 변화와 정부 정책 추진 상황을 지켜보기 위한 포석이 없지 않다. 

효율성과 합리성을 기반으로 점진적 변화가 현장에서 나타날 수 있도록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정부의 보다 면밀한 검토와 세부 지원대책을 제시할 필요가 크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