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인 기자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정부는 지난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뒤 지난해 2월 세계 최초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수소경제법)’을 제정한 바 있다. 

로드맵을 통해 정부는 미래차 보급 목표로 2025년까지 전기차는 113만대, 수소차는 20만대 보급하며 수소충전소는 내년 310개소, 2025년에는 450개소를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올해말까지만 하더라도 180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것으로 예정하고 있지만 5월 현재 85개소의 수소충전소가 구축돼 있지만 실제로는 72개소 정도가 운영되고 13기는 고장 등으로 멈춰서 있는 상태다. 

수소충전소 구축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입지여건을 완화하고 주민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그린벨트 등에 설치하는 것도 좋지만 수소차 운전자의 이용 효율이 높은 곳을 주목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주유소나 LPG충전소의 넓은 부지를 활용하는 것이 주목받고 있지만 운영에 따른 경제성 때문에 선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부지 확보 차원에서 주민 민원 발생이 적고 그린벨트 등에 설치가 될 수 있도록 허용해주고 있지만 도심과 이용이 많은 도로 주변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밖에 없다. 

이미 입지 여건을 확보하고 있는 주유소나 LPG충전소가 판매량 감소에 휴폐업 되도록 방치해 건물 등으로 활용되도록 하기보다는 기회상실에 대한 비용이나 지원을 통해 수소충전소로 활용하게 될 경우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차량 보급과 인프라 구축이 톱니바퀴 물리듯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다양하고 면밀한 정책 마련과 주유소나 LPG충전소 운영인들이 수용 가능한  조건 제시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