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전력기금사업단이 18일 주최한 ‘제2회 가스터빈 혁신성장 포럼’에서 신재생에너지 보완재로서 LNG발전 역할을 확대하고 미래 에너지 환경에 맞는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날 문승일 서울대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대폭 늘어날 전망”이라며 “간헐성 문제 해결이 과제로 부상했으며 우리나라처럼 고립된 전력 환경에선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대안으로 용량은 작지만 기동성이 좋은 중형 가스터빈을 지목했다. 

문 교수는 “현재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주 보완재로 활용되고 있다”라며 “중형 가스터빈 또한 기동이 빠르기 때문에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문 교수는 “태양광 발전은 관성이 없기 때문에 사고가 나면 주파수 유지가 어렵다”라며 “중형 가스터빈이 태양광 발전에 관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 교수는 “ESS와 중형 가스터빈을 따로 사용하기 보다는 ‘ESS·가스터빈’ 패키지로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문 교수는 “간헐성 문제를 해결하면 신재생에너지 효율성, 도입량을 제고할 수 있다”라며 “일정 기간 석탄화력 대체 및 신재생에너지 보완재로써 가스터빈 역할이 필요한 만큼 시장을 활용해 가스터빈 산업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패널로 나선 김준한 전력거래소 팀장도 “신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에 있어 가스터빈의 효용은 명확하다”라며 “ESS, 양수발전이 대응 속도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지속성 관점에서 가스터빈만의 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장중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청정화력 PD는 “가스 발전을 신재생 보완재로 활용해야 한다는데 동의한다”라며 “다만 장기적으로 탄소중립 등에 대응해 수소 발전 터빈 개발 등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장 PD는 “이미 해외 제조사 상용 가스터빈 제품은 수소 혼소가 가능하다”라며 “가스터빈 국산화 과정에서 외부 환경을 감안한 기술개발 투자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