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자가 한 세미나에 취재를 갔을 때다. 당시 사진 기사를 쓰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찍었으나 사진이 잘 나오는게 없다. 카메라를 다시 보니 실외용 카메라다. 이미 세미나는 끝났다.

본 기자는 이런 실수를 전에도 한번 했음에도 불구, 벌써 두번째다. 후회한들 소용이 없다.

지금 정부의 바이오디젤 보급정책이 기자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이미 우리는 고유가에 대비 하지 않고 있다가 현재 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신고유가 대응 전략을 세우느라 한창이다. 신고유가 대응 전략 중 하나로 바이오디젤도 포함돼 있다.

바이오디젤(이하 BD)은 지난 1일부터 상용화에 들어갔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눈씻고 찾아봐도 바이오디젤이라고 쓰여진 주유소는 없다. 산자부가 BD 공급량을 연간 9만㎘로 제한해 실제로 경유에 혼합되는 BD양은 0.5% 밖에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BD는 더 이상 대체연료가 아닌 경유 첨가제 역할로 전락해 버린듯 하다.

신고유가 대응 전략의 하나로 꼽히던 바이오디젤 보급이 초반부터 삐걱 거린다.

마침 당시(실외용 카메라를 가지고간 날) 세미나에서는 고유가 대응전략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정부 한 관계자가 바이오디젤 등 새로운 에너지원의 보급으로 미래 에너지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한다. 2년 후에는 의무화 검토를 할 것이라고. 결국 BD는 최소 2년 동안은 무늬만 대체연료가 된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 바이오에탄올이 들어설 자리는 더욱 좁다.

과연 우린 똑같은 실수를 다시 하지 않을 수 있을까? 우리는 이미 고유가 대비에 소흘해 후회한 바 있다. 선진국은 이미 BD의 보급양을 늘려가고 있는데, 우린 또다시 뒤에서 쳐다보고만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