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청균 홍익대학교 교수 트리보메카·에너지기술 연구센터 소장
최근 에너지 고갈과 환경오염, 기후변화를 우려한 지구촌 사회는 대체에너지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화석연료 과소비 국가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원을 다변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LPG, 특히 LNG 소비량을 늘리고 있다.

가스는 다른 에너지에 비해 완전연소가 가능하고 환경물질을 덜 발생하는 장점이 있지만 가스기기 제품의 내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가스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가스관련 모든 제품에 성능안전 위주의 기술기준을 설정하고 가스제품의 생산과 유통, 사용에 따른 안전기준을 부과하는 행정적 법규와 기술적 기준을 급변하는 신기술과 생활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제정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가스는 압력차에 의해 급속하게 팽창하고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순간적으로 확산하기 때문에 폭발력에 의한 위험성은 대단히 높다.

따라서 가스에 관련된 모든 제품은 설계안전, 구조안전, 소재안전, 밀봉안전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위험수준을 기술기준으로 고시하여 가스제품 생산자나 사용자 모두가 안전성 확보에 동참할 수 있어야 한다.

가스사용에 관련된 핵심제품에는 가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압력용기와 저장탱크, 수송을 위한 배관과 펌프, 개폐를 위한 밸브, 압력 변동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계측기기, 가스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밀봉장치 등이 있다.

이들 가스제품은 안전성을 보장할 정도의 성능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결국 가스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가스제품과 시설물에 대한 안전기술 수준을 높이고 기술기준 규제치를 공정하게 설정해야 한다.

기술기준은 최소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학적 수준으로 설정되어야 모든 나라들이 준수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상호협력을 통해 성능기준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가스를 사용하는 각 나라들은 가스제품을 생산하는 설계기술, 생산기술, 품질관리, 안전관리 등에서 기술수준이 서로 다르다.

특히 가스에너지를 사용하는 생활습관과 의식수준, 사회적 환경과 인구밀도, 유통구조 등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국제기준을 그대로 반영하기 보다는 자국의 가스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조율하여 가스기술 안전기준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제품에 대한 안전의식이 높은 국가에서는 기술규제와 행정기준을 최소한으로 정하고 모든 기술기준을 위원회 중심의 민간자율로 결정하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운영하여도 큰 문제없이 가스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가스제품의 신기술 개발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단축하여 공공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가스안전 기술서비스 선진국으로 도약하여 기업체의 국제기술 경쟁력을 행정적으로 지원하고자 추진한 선진국형 가스기술 기준 코드화 작업은 중요하다. 신기술 개발이나 안전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술기준을 새로이 제정하거나 개정을 추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은 짧아진 제품수명에 맞추어 줄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기준 시스템으로는 신속한 의사결정을 중시하는 기업체의 기술개발 의욕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술기준 제정시스템의 후진성은 가스산업을 위축시키고 신제품의 시장진출 타이밍을 놓칠 우려가 높으므로 새로운 기술기준 제정시스템의 도입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 가스기술 기준제정 시스템 도입에 많은 진통을 겪었지만 이번에 발족하는 가스기술 기준위원회는 지식경제부를 비롯한 산학연이 협력하여 우리나라의 가스기술 기준을 선진국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기준위원회는 가스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모든 산업체에 가스기술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 특히 국가의 에너지 산업정책 및 가스안전 기술확보에 기여하는 시스템으로 운영하여 공공안전 확보의 구심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