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정보분석실 책임연구원
유가가 한창 고공행진을 하던 시절 유전개발사업에 투자했다는 기사만 나와도 주가가 수배에서 수십배까지 오르던 시절이 있었다. 이때 유전개발사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되었다.

그 시절 정보력이나 기술력이 없는 벤처기업들이 무작정 뛰어들었다가 실패하거나 주식 매각 차익을 챙기려다 금융 사고를 냈다.

이처럼 과거에는 일부 지분참여나 탐사사업에 치중하던 반면 최근에는 생산유전 매입이나 해외유전개발기업을 직접 인수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늦은 감은 있지만 다행한 일이다. 다만 이런 경우 막대한 추가적인 투자금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해외유전개발 투자 지원책을 보면 탐사사업에 국한된 성공불융자지원 자금이 있으나 규모가 수요에 비해 적다.

또한 개발생산 및 M&A에 지원하는 자금을 국책은행에서 지원하고 있으나 지원방식이 프로젝트 자체의 경제성보다는 기업의 신용도에 의해 지원하기 때문에 대기업 외에는 기술력이 있다 하더라도 중소기업의 경우 지원받기가 쉽지 않다.  

우리나라의 최근 부동자금이 600조에 이른다고 한다. 이러한 부동자금은 적당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최근 모보험사 상장의 공모주에 20조원이 몰렸다는 점은 요즘 같이 금융시장이 전 세계에서 단일화된 시장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신규투자처를 찾기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와 같이 한쪽에서는 투자금이 부족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적당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몇 년 전에 유전개발펀드법을 신설한 바 있다. 그러나 그 성과는 정책의 근본 취지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제도적 문제점보다는 우리나라에는 이와 같은 시스템이 정착될 수 있는 기반조성이 아직 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유전개발펀드를 전문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국제적 경쟁력이 있는 기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금융권 또한 유전개발사업에 대한 이해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유전개발펀드 제도가 처음 시작된 곳은 자국의 유전개발사업이 활발한 미국 및 캐나다 등 북미 국가들이다.

대표적인 유전개발펀드는 북미 로열티 트러스트라는 투자신탁상품으로 유전개발과 관련된 사업에 한정하여 투자하는 일종의 뮤추얼펀드이다.

이 상품은 초창기에 자기 소유의 생산광구에 대해 펀드를 모집, 비용을 충당하고 로열티를 배당하는 방식으로 시작하여 점차 시추단계 및 생산단계에 소요되는 운영비에 대한 투자에서 광권소유사의 지분 취득 혹은 대출을 통해 간접수입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투자형태로 발전되었다.

이 상품은 캐나다 지역에서 연 평균 수익률이 연간 9~15% 이상이라고 한다. 이 제도는 정보력과 기술력은 있으나 자금력이 없는 기업이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투자시스템이다.

향후 10년 이내 우리나라는 베이비붐시대의 본격적인 은퇴시기와 맞물려 시중의 연금관련 자금은 지금보다 훨씬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전 세계적 부동산의 침체로 안정적인 신규 투자처의 창출이 매우 어렵고 각국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에너지자원확보를 위한 자원전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투자자들이 마음 편히 유전개발사업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투자시스템의 선진화 및 평가나 유전운영서비스 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해외유전개발펀드 법을 금융권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현실성 있게 개정해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