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규태 울산과학기술대학교 테크노경영학부 교수
[투데이에너지] 한국은 석유공사를 중심으로 울산과 여수에 동북아 오일허브를 수년간 국정과제로 진행해 왔다. 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은 울산을 중심으로 약 2,800만배럴과 여수에 약 800만배럴의 저장기지를 건설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이 순항할 경우 한국은 석유공사 비축유 및 정유사 저장분 이외에도 약 3,600만배럴 이상의 규모를 가진 동북아의 에너지 저장기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한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동북아 오일허브를 단순 물류사업 이상으로 활용할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해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고려해 볼 때 동북아 오일허브가 줄 수 있는 가장 큰 부가가치는 금융산업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금융기관들은 주로 소비자금융, 채권, 증권, 그리고 환율 및 관련 파생상품에 초점을 둬왔다. 이제는 전통적인 금융상품과 함께 상품(Commodity)금융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서 고민해야 할 것이다.

석유시장은 그 특성으로 인해서 금융기관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석유거래에서 계약시점과 인도시점의 차이로 인해서 대부분의 거래가 선도(forward) 및 선물(futures)방식으로 장내·외에서 이뤄지고 있다.

기간 또한 일반적으로 10일에서 2~3달의 이후의 물량에 대한 거래가 변동가격(Floating Price)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헤징(Hedging)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방식이 선물과 현물간의 스와핑(Swapping) 및 선물과 선도거래간 스와핑이다.

또한 결제의 상당수가 청산소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석유시장의 메카니즘은 한국의 금융산업의 규모를 키우는 동시에 금융기관에게는 사업의 다각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동북아 오일허브를 통한 금융산업의 육성을 위해서 정부 또는 관련기관은 세가지 부분에 초점을 둬야 할 것이다. 첫째 동북아 오일허브를 세계적인 거래 허브로 인식시켜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가격평가기관(Pricing Reporting Agency)의 설립 또는 유치가 필수적이다. 세계적인 가격평가기관으로는 Platts, Argus, OPIS 등이 있다. 이들 기관의 유종별 그리고 제품별 가격(예: 일본의 MOPJ 나프타)은 지역의 대표성을 가지고 있고 트레이더와 금융기관이 헤징, 스와핑 및 기타 파생상품 개발에서 기초 가격으로 참조되고 있다. 따라서 원유 또는 제품유에서 동북아 오일허브를 대표할 수 있는 가격을 만드는 것이 석유금융의 시발점이 될 것이다.

둘째 금융기관 및 트레이더의 유치이다. 한국은 과거 정부부터 현 정부까지 수년간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을 추구해 왔다. 대표적인 사례로 서울 여의도에 있는 금융타운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비슷하게 석유상품과 관련해 동북아 오일허브가 위치해 있는 동남권에 상품거래 특화 금융기관을 유치할 수 있도록 정부 및 지자체가 나서야 할 것이다.

셋째 국내금융기관의 상품거래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기 하기 때문에 국내 금융기관의 사업다각화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방안에 대해서도 정부는 고민해야 할 것이다. 우선 국내 금융기관이 트레이딩과 관련한 상품개발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규제의 과감한 완화가 요구된다.

국내에서 석유상품 관련 금융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품을 개발 및 운용할 수 있는 에너지상품 전문금융인력의 양성에 대해서 정부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