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병일 한국수력원자력 방사선보건연구원 연구관리팀장
[투데이에너지]  정수기의 물 안전한가? 은나노 제품 유해성 논란 화장품에서 치약까지, 고양이털에 대한 유해성 논란, 친환경 컵라면 유해성 논란, 3D TV 폭풍성장에 감춰진 유해성 논란, 휴대폰 전자파 인체 유해성 논란, 황토팩 유해성 논란이 재점화될까? 30년 장수식품 유해성 논란에 비틀비틀 등등 인터넷 검색창에 ‘인체 유해성 논란’을 입력하면 수없이 많은 글들을 확인할 수 있다.

수많은 논란의 대상들 중 과학적으로 유해함이 명백하게 입증된 사안들도 있을 것이고 인체에 무해하다고 결론이 난 사안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안들은 아직도 논쟁이 이어지고 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MSG, GMO, 전자파 그리고 방사선의 인체 유해성 논란일 것이다.

MSG에 대한 인체 유해성 논란은 오래전부터 있어왔고 현재진행형이기도 하다. 일본, 유럽,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MSG를 안전한 조미료로 인정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0년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MSG는 평생 섭취해도 안전하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미국 FDA는 1978년과 1980년 2회에 걸쳐 MSG가 인체에 해를 준다는 증거가 없다고 발표한 바 있고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나 세계보건기구(WHO) 식품첨가제위원회에서도 1987년 MSG의 안전성에 대해 재검토한 결과 안전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재평가한 바 있다.

그렇지만 우리 국민들의 MSG에 대한 의견은 다르다. 모방송국에서 설문조사한 결과 소비자 10명 가운데 8명이 ‘MSG 선택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SG 선택제’란 식당에서 MSG 조미료를 넣어 조리하지 말고 별도의 양념통에 담아 식탁 위에 비치해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주자는 것이다.

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각국 정부의 입장은 다르다.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콩·옥수수·면화 등이 대부분 GMO 작물이지만 어떠한 규제도 없다. 반면 EU나 일본, 한국에서는 GMO 작물이나 식품의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다.

EU에서는 GMO가 0.9%만 섞여 있어도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일본은 5%, 우리나라는 3% 이상 혼입돼 있으면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 80%가 농수산식품을 못 믿겠다고 응답했으며 위해요인으로 꼽은 상위 3가지 중 하나가 GMO였다. GMO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일반 국민 사이에도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휴대전화 전자파 또한 유해성 논란의 대상이다. 2011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는 “휴대전화와 뇌종양 발생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라며 휴대전화 통화를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인 그룹2B로 분류했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와 IAEA에서 제시하는 방사선량 규제치를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따르고 있다.

아울러 ICRP는 100밀리시버트(mSv) 미만의 저선량에서는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고 각국의 방사선전문가들 또한 이를 지지하고 있다. 하지만 2012년에 서울환경연합이 와이즈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기준치 이하의 방사선피폭은 인체에 무해하다’는 정부의 주장을 신뢰한다는 답변은 26.5%에 그치고 있다.

인체 위해성 논란의 중심에 있는 MSG, GMO, 전자파 그리고 방사선은 서로 본질이 다르기 때문에 인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를 것이다. 관련전문가들의 피땀어린 노력으로 현재까지 밝혀낸 과학적 사실과는 많이 다른 일반 국민의 생각과의 간극을 좁히는 일은 만만찮은 숙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