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영명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장
[투데이에너지] 에너지의 96%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급의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에너지 자원의 장기적, 안정적 확보와 더불어 자원의 탐사·개발·생산·도입·공급·이용 등 에너지 가치사슬의 전과정에 걸쳐 요구되는 기술력의 확보야말로 우리나라가 에너지 선진국으로 도약하는데 중요한 가늠자 역할을 할 것이다.

최근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신흥강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비해 내륙과 근해에서 생산해온 자원이 점차 감소하면서 이제는 자원개발이 보다 열악한 환경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offshore)은 물론 심해저(subsea) 그리고 북극(arctic)과 같은 극한지 환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북극자원은 주요 소비시장과 멀리 떨어져 있고 수송수단이 제한돼 있어 자원개발이 늦어지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 만년설의 해빙규모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과거에는 항로 확보가 불가능했던 지역에서도 항로가 개척돼 북극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물류수송에 새로운 장이 열림에 따라 북극지역에서의 자원개발 활동이 촉진되고 있다.

북극지역은 러시아의 야말반도를 시작으로 캐나다의 맥킨지델타 유역, 그린란드 동부분지 등이 북극권 개발활동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머지않아 보다 영역이 넓어지고 활성화 될 전망이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의 보고에 따르면 북극지역에는 석유 900억배럴, 천연가스 1,670TCF, 콘덴세이트 440억배럴 등 석유환산으로 4,120억배럴에 달하는 자원이 부존하고 있다.

그러나 극한지 자원개발을 위해서는 극한지에 적합한 시추, 유정완결, 생산정 유동성 확보, 해상전력 공급, 쇄빙선, 석유수송 등의 기술적 과제들이 선결돼야 한다.

극지 희귀생물의 존재, 오염 민감도, 극한기후에 따른 자연복구 지연 등 환경오염에 대한 보수적 설계와 개발기준도 요구된다.

최근 국내에서는 북극해 전략수립 정책포럼, 북극관련 연구·정책 국제심포지엄 등을 개최해 북극위원회 준옵저버에서 옵저버 자격으로의 승격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도 북극자원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관련국가와의 유대를 강화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사업조직을 개편하는 동시에 기술개발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자원개발기업들은 열악한 환경에서의 탐사, 시추, 개발, 생산 및 수송에 이르는 새로운 기술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에너지기업뿐만 아니라 조선해양플랜트분야에서도 극한지 환경에서의 기술수요에 대처하기에는 경험과 기술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극지나 심해 환경에서 사용되는 제반 설비는 내한 또는 내압성능을 갖추고 신뢰성과 안전성이 보장돼야 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새로운 기술과 기자재의 수요가 발생한다. 우리나라도 조선해양플랜트뿐만 아니라 부품, 소재, 기자재 등 관련분야에서 이러한 기회를 새로운 시장 개척의 계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에서는 그린란드 등 북극권 국가들과의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심해자원 생산용 해양플랜트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 중에 있고 자원개발 및 해양플랜트 인력양성을 위해 자원개발 특성화대학과 해양플랜트 특성화대학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과 더불어 민간부문에서도 극한지 및 심해 자원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꾸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미래 우리나라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초석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