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우리나라는 과거 유례없는 경제성장과 고도의 산업화를 이뤄냈다.

다른 나라에서 100년, 200년이 걸렸던 산업화와 도시화를 불과 40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이뤄낸 것이다.

산업화시대에 우리나라는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수도권에 모든 것을 집중시켰다.

사람도 돈도 기업도 모두 대도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 집중돼 왔다.

짧은 기간에 많은 것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모두가 함께하는 상생과 공존보다는 효율성이 강조된 중앙 집중형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명령과 지시없이는 움직이지 않는 사회시스템, 창의와 자율이 없는 경쟁구조, 통제와 규제의 올가미에 얽매인 경직된 사회구조 등이 만연하게 됐다.

그러나 이제는 시대상황이나 국제환경이 크게 변했으며 국민들의 의식수준도 높아졌다.

효율의 극대화보다는 상생과 공존이 더 소중한 가치가 됐다.

산업화시대의 생활에 회의를 느끼는 사람들이 하나둘 도시 생활을 접고 지방으로 이사를 가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도 한다.

어느 정도의 산업화와 함께 경제적 성장을 이루고 보니 다시 지방화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각 지방 역시 수도권 못지않은 경쟁력을 갖추게 됐기 때문이다. 수도권 집중형에서 지방 분산형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추진했으며 올해 초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부부처를 비롯해 각 공기업들의 지방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패러다임을 과거의 중앙정부 주도에서 지방이 주도하고 중앙이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처럼 지방화는 더 이상 늦출 수도 거스를 수도 없는 대세가 됐다.

진정한 지방화시대는 상생과 공존에서 출발한다.

경쟁, 대립에서 벗어나 화해와 협력, 상생과 공존의 길을 찾아야 한다는 말이다.

2013년, 진정한 지방화시대는 이미 시작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