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규태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투데이에너지] 이명박 정부 이후 최근 대두돼 왔던 화두 중 하나는 해외자원개발과 관련한 국내 공기업의 실패사업 및 손실 규모다. 이는 공기업의 부채관리와 맞물려 더 큰 이슈를 만들어내고 있다.

해외자원개발은 리스크가 아주 높은 사업들로 해외 메이저자원 기업들도 시기에 따라 막대한 손실을 내기도 한다.

해외자원개발은 단순히 사업논리로 접근하기 힘든 부분이 분명히 존재하고 때로는 오랜 노력이 필요하지만 성공할 경우 아주 높은 수준의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국내 에너지자원 공기업의 기업합리성을 따지기 이전에 해외개발 손실과 관련해 과연 이러한 부분이 적절하게 반영돼 평가됐는지 다시 한번 살펴봐야 할 것이다. 많은 민간기업이 해외자원개발과 관련해 수익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공기업이 왜 적자를 기록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이나 유럽과는 다르게 아시아권은 공기업이 자원개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에너지공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대부분의 아시아권의 나라들은 자국 역내에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공기업이 이들 자원을 개발해 국부를 늘리고 있다.

한국의 경우는 어떠한가? 대한석탄공사를 제외하고는 한국에서 역내에서 에너지자원 개발을 할 수 있는 기업은 거의 없다. 물론 울산에 천연가스 유전이 있기는 하지만 한국의 일일 소비량을 고려해보면 지극히 미약한 규모다.

따라서 자체적인 관련사업을 제외하고는 해외자원개발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을 것이고 높은 수준의 리스크는 필연적이다.

또한 공기업은 민간기업과는 다른 의사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공기업이 대규모 예산집행을 할 때 중앙정부와 국회의 ‘허락’은 거의 필수적이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공기업주도의 해외자원개발이 아닌 정부주도의 해외자원개발에 공사가 참여하는 형식이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환경을 고려해 볼 때 공기업이 해외자원개발에서 수익을 내기란 녹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회사가 방만하게 경영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방만경영과 해외자원의 손실을 같은 기준으로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사실 또한 주지해야 할 것이다. 해외자원개발에서 단기적으로 수익사업 중심의 사업을 해야만 한다면 굳이 공기업이 참여하도록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가까운 중국은 막대한 금액을 해외자원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과는 다르게 에너지 자원개발 및 거래는 공사만 할 수 있도록 돼있다. 만약 중국의 국영기업이 단순히 한국과 같은 효율성을 따졌다면 이렇게 공격적으로 에너지원을 구입할 수 있었을지 의문이 든다.

에너지공기업의 해외자원개발과 관련한 평가는 최소 10년을 내다보고 평가를 해야하며 해당 에너지공기업이 왜 자원개발에 참여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한 뒤 평가를 해도 늦지 않을 것이다. 분석의 결과가 조직원들에게 받아들여질 때 자체적인 조직학습이 발생해 비슷한 실패를 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해외자원개발은 단순히 자원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채굴을 위한 과학기술과 장치산업에서부터 판매까지 다양한 가치사슬의 핵심이 되는 사업이다.

해외자원개발이 성공할 경우 관련 산업은 당연히 발전할 것이고 최근 화두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해외자원개발을 단기성과적 측면에서 판단하지 말아야 할 것이고 긴호흡을 가지고 성공과 실패의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