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부산물인 잉여가스 공급권을 놓고 고압가스 업계가 혼란을 겪고 있다. 포스코의 잉여가스란 포스코가 생산해 자체 소비하고 남은 공업용가스(산소,질소,알곤)를 일컫는 것으로 이같은 잉여가스는 원가개념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이같은 잉여가스는 시중의 가스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특정사업자에게 공급되었고 이들은 시장에서 높은 가격경쟁력을 갖게되었다. 이렇다보니 대다수의 고압가스사업자들은 포스코의 잉여가스 공급방식을 공정하게 해야한다고 주장하며 그 방법으로 공개 경쟁입찰을 통해 공급해야 한다고 지적해 왔다. 그 결과 포스코는 오는 24일 공개 경쟁입찰을 실시한다고 공고했다. 그러나 입찰 내용이 알려지면서 또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포스코측이 잉여가스 물량의 30%만 공개 경쟁입찰로 공급하고 나머지 70%는 기존 거래업체에 공급할 방침이 알려지면서 불거진 논쟁은 양측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측은 고압가스업계의 100% 공개 입찰 주장은 “경영 간섭”이라며 지금까지 공급받아온 업체에 “선의의 피해를 줄 수 도 있어 30%로 물량을 결정했다”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주장은 포스코가 일반 사기업일때의 논리이지 국민기업인 포스코로서는 올바르지 않은 결정이라는 게 고압가스 업계의 지적이다. 즉 국민기업인 포스코가 입찰을 통해 투명하게 잉여가스를 처리할 경우 수의계약에 의한 공급단가보다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30%만 입찰 물량으로 결정한 것은 국민기업인 포스코의 이익에 반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포스코가 이처럼 헐값에 수의계약으로 공급하는 물량으로 인해 고압가스 시장의 유통질서가 무너지게 되고 대다수 고압가스산업 종사자들에게 불공평한 경쟁을 촉발시키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고압가스는 전 산업 분야에 반드시 필요한 가스로 고압가스의 수급과 시장의 안정성은 국가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포스코의 잉여가스 처리 문제는 나무만 보지말고 숲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을 포스코 측은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