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호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장
[투데이에너지] 올 여름의 전력수요공급 전망은 일단 그다지 나쁘지는 않은 듯하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는 화석원료와 원자력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크면서 전력예비율도 매우 아슬아슬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11년 9월15일 대한민국의 대규모 정전사태는 에너지수요 관리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취약한 전력최우선의 에너지소비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도 일깨웠다.

정부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6대 중점과제의 하나로 분산형 발전을 포함시켰고 현재 5% 수준을 2035년까지 15%로 상향시키는 목표를 설정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의 목표치는 제1차 에기본에서 정한 11%를 당초 2030년에서 2035년으로 5년 연장해 달성하는 것으로 사실상 낮췄다.

분산형발전에 매우 적합한 신재생에너지의 목표치를 하향하면서 분산발전의 목표치를 높인다는 것은 신재생에너지가 아닌 다른 에너지원들을 분산발전으로 사용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목표는 정부와 민간의 노력으로 얼마든지 초과달성할 수 있다. 그 한 가지 실천방안으로 분산형 발전시스템과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연계해 최적화 된 분산발전과 동시에 기후변화문제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의 솔루션을 같이 찾는 방안을 찾을 때가 된 것 같다.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신재생에너지원의 융복합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와 기존에너지원의 융복합도 포함한다.

이때 중요한 키워드는 해당 지역의 여건에 가장 맞는 지역맞춤형 에너지 mix를 구현하는데 있다.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단순히 전력시스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전력, 열, 가스의 최적 조합을 의미한다.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은 매우 많다. 기 언급한 분산형 발전시스템으로의 응용뿐만 아니라 에너지소비가 큰 산업단지와 수송 및 수송시스템분야에서의 에너지 고도화 및 고효율화, 주거 및 생활분야에서의 신재생 시스템 보편화, 기타 혁신적인 신 시스템 및 제품개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과 로드맵이 공급자 중심의 에너지원별로 명확히 구분돼 있어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기업, 지역 맞춤형으로 최적화된 토탈 솔루션을 낼 수 있는 해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의 R&D 사업구조를 원간 융합형 사업구조로 전환하는 등 기존제도를 정비해야 하고 신재생에너지의 확산에 장애가 되는 각종 규제 등을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해소해 나가며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지역 맞춤형 융복합형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방안도 같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관련 핵심기술의 개발과 산업화, 대중소기업이 상생 발전하는 산업생태계의 조성을 위한 산-학-연 연계 개발 플랫폼의 구축도 필요하며 수출산업화에 있어서는 표준화와 인증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개발된 핵심기술과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시스템 기반 친환경 융복합 에너지타운 시범사업 등을 통해 확산해 나가야하며 내수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BM(Business Model: 사업모델)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확산과 이에 따른 기후변화에의 대응은 이제 선택의 문제가 아닌 인류생존의 문제이다.

따라서 녹색에너지를 보다 가치가 있다고 인정해 주는 국민적 동참과 정치권의 인식전환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