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기자] 김포시가 한국생산성본부에 의뢰한 ‘전기버스운영기본계획’ 결과가 제시돼 빠르면 내주 초 전기버스·충전시설 설치 사업자 공고에 나선다.

김포시는 10일 전국 최초로 민간업체 투자유치를 통해 전기버스 도입 및 충전시설을 설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SKT컨소시엄의 전기버스·충전시설을 포함한 4개 사업에 대한 김포시 ‘정보화사업’ 민간투자사업(BTO) 제안건은 보류됐지만 전기버스·충전시설은 BTO 방식으로 우선해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미 환경부로부터 전기버스 구매 보조금 30억원을 확보한 상태에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생산성본부는 배터리 탈·부착식, 무선충전식, 플러그인 충전방식 등 3개 모델을 검토해 최종 배터리 탈·부착식 충전방식을 김포시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포시 관계자에 따르면 “전기버스 충전시설은 배터리 탈·부착 방식이 최종 제안됐다”라며 “내주 초 전기버스·충전시설 BTO사업 고시때 전기버스운영기본계획 용역 결과 내용도 함께 게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김포시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민간투자방식에 의한 전기버스·충전시설 인프라 설치를 진행하게 된다. 고시 후 전문기관 평가·협상 등을 거쳐 7월중 최종 사업자 지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전기차 배터리 탈·부착식은 기존 전기버스 상층부에 관련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해 전기버스 구입비용이 높다. 환경부 보조금과 국토부 저상버스 지원금을 수령한다고 해도 기존 경유 및 CNG버스와 비교해 1억원~1억5,000만원 이상 비싸다. 이 경우 운수업체의 버스구매가 순조롭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 초기 과도한 인프라 구축비용도 사업참여를 제한하는 요소다. 배터리 탈·부착식 도입 시 배터리교환 자동화시스템을 노선별 최소 2개소 이상을 구축해야 한다. 업계에 따르면 관련시스템 1개소 구축비용이 약 20억원 수준으로 2개 구축 시 40억원의 인프라 구축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관련해 업계의 관계자는 “현재 국내 전기버스 도입이 확정된 2곳은 모두 배터리 탈·부착식 모델이다”라며 “정부예산이 투입돼 시범사업으로 진행하는 제주도와 이미 실증사업을 통해 관련 인프라를 기부체납받은 포항시의 경우 사업성은 좀 더 두고 봐야겠지만 새롭게 추진하는 김포시의 경우 사업자 모집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버스 30대에 대한 배터리리스료가 유일한 수입원인데 초기 투자비로 50억원에 육박하는 인프라 구축비용을 우선해 투자하는 결정이 사실상 어렵다는 얘기다.

한편 김포시는 인프라 건설기간을 고려해 내년 1월부터 전기버스 운행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향후 사업자 참여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