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상우 기자
[투데이에너지 박상우 기자] 최근 대한민국은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의 직격탄을 맞아 공포에 떨고 있다.

뒤늦게나마 정부에서 ‘늑장대응을 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메르스 확산을 막는데 역부족이다.

이토록 메르스가 확산되는 이유는 정부가 메르스의 국내유행가능성을 낮게 봐 비상 대응 매뉴얼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우왕좌왕했기 때문이다.

만약 제대로 된 매뉴얼이 있었다면 정부-지자체 간 혼선을 막고 국민들의 혼란과 불안함을 부추기지 않아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부는 안일한 판단으로 매뉴얼을 갖추지 못해 결국 세계에서 2번째로 메르스 감염자가 많은 국가로 전락했다.

특히 박근혜 정부가 제2중동붐을 일으켜 국내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중동지역 국가와 교류를 확대했을 때 중동지역에서 유행하던 메르스 대응책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는 것은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

정부는 이번 메르스 사태를 교훈삼아 현재 안전사고 대응 매뉴얼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사고 예방은 가능한지, 사고 시 신속히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지, 정부-지자체 간 협력이 잘 이뤄질지 등 다각도로 안전 매뉴얼을 점검해야 한다.

또한 제대로 된 매뉴얼이 없어 우왕좌왕한 메르스 사태처럼 발생 가능성이 낮다고 아무런 대응책을 준비하지 않고 속히 매뉴얼을 구축해 대비해야 한다.

항상 정부는 메르스 사태처럼 재난이 발생한 후에 뒤늦게 대책을 마련하는 모습을 보여 스스로 국민들의 불신을 초래했다. 이번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제대로 된 안전사고 대응책을 미리 구축하고 특히 현재 5,301종의 위기관리 매뉴얼을 450여개로 정비 중인데 단순히 개수를 줄이지 말고 어떤 재난에도 신속히 대응하도록 정비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