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기자] 수소차와 전기차의 미래 승자는 누구일까. 테슬라의 엘론 머스크 CEO를 제외하면 이 질문에 쉽게 대답하지 않는다. 아니 하기 어렵다. 엘론 머스크는 ‘수소차 개발은 쓸데 없는 짓’이라 단정짓는다. 주행거리, 충전시간 등 전기차의 단점은 빠른 시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결국 수소차의 우위요소가 없다는 주장이다. 물론 이 판단은 옳지 않다.

전기차의 단점은 극복될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수소차에서도 그는 가정을 전제한다. 그러나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공급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는 부정적 전제다. 주장이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에 앞서 전제의 균형에서 이미 형평성을 잃었다.

많은 전문가들은 전기차와 수소차의 우위를 결론내지 않는다. 대신 저울의 양추에 올려놓고 기술과 가능성을 살핀다. 특정기술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고 있는 것인데 비록 답답한 결론이지만 현실적이다.

사실 당장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다. 선택된다고 해도 정답을 확신할 수도 없다. 그럼에도 지금 이 순간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전기차가 좀 더 빠른 대중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세계 어떤 나라의 보급 규모를 들여다 보더라도 수소차가 전기차에 앞서 있는 곳은 없으니 말이다. 그러나 이를 두고 최후 승자를 예단하는 것 역시 성급한 일임을 잘알고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최근 국내 한 기관이 의미있는 보고서를 내놨다. 전기차와 수소차의 우위를 판단하기 보다 이들 기술이 성공하기 위한 산업간 관계를 들여다 본 것이다.

가장 먼저 보고서는 전기차와 수소차가 공통적으로 기존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산업 간 역학관계가 얽혀있다고 봤다. 전기차는 차량 자체 기술뿐만 아니라 배터리기술이 중요하다. 배터리는 셀을 구성하는 소재기술과도 직접 연결된다. 

수소차의 핵심은 자체 동력원(전기)을 생성하는 연료전지가 핵심이다. 연료전지는 기술력도 중요하지만 원가절감을 위해 촉매로 사용하는 백금 대체기술도 요구된다.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의 안정적인 수소공급체계도 마련돼야 한다. 충전인프라 역시 한 몸이다.

결국 수소차와 전기차는 전후방 가치사슬 협력이 필연적인 기술이다. 굳이 양 기술간 우위를 논한다면 밸류체인(가치사슬), 서플라이체인(공급망) 구성과 유연성이 향후 승패를 결정지을 가능성이 높다. 따로 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가야 멀리 갈 수 있고 시장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