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Post-2020’이 발효되면서 전세계는 다시 한 번 들썩 거렸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효율적 에너지사용이 각국의 최대 과제가 된 것이다. 세계 각국은 화석연료의 대표적인 석탄을 배제하고 청정에너지, 신재생에너지에 초점을 맞춰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 역시 ‘Post-2020’에서 BAU대비 37% 감축안을 선언하면서 이와 관련 분주하게 후속조치에 들어갔다. 에너지신산업 8대 과제를 제시하는가 하면 석탄연료 퇴출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들을 마련 중이다.

이제 더 이상 에너지안보는 세계적인 이슈가 아니다. 이제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면서도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생산을 하는 것이 최대 관심사다. 국제유가의 저공행진도 이제는 별스러울 것 없는 일상이 됐다. 아울러 앞으로도 셰일가스의 영향으로 지금보다 크게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냉방 시에는 전기, 난방 시에는 열을 사용함으로써 열과 전기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소비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와 열 어느 쪽에도 치우쳐서는 안 되는 에너지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전기제품의 개발로 열도 전기로 충당할 수 있을 만큼 그 시장은 커졌다. 이에 따라 주로 열원을 판매하는 지역난방사업자와 도시가스사업자들은 겨울철 난방을 통한 수요가 현저히 줄어들어 신사업개발이 절실한 시점이 됐다.

최근 온실가스 감축 이슈가 급부상하면서 분산형전원으로 집단에너지사업은 각광받는 듯 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가장 고질적인 문제였던 연료비를 도시가스요금 변동 주기에 맞춰 연동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 그러나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이 마저도 사업자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수 없었다. 그동안 누적돼온 손실계수를 보정해야하는데 오히려 연료비가 떨어지면서 발이 꽁꽁 묶여 버린 것이다. 더구나 초기투자비의 문제와 발전소가 주거지역 내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는 민원, 에너지가격의 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집단에너지사업은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유럽 선진국에서는 지역 내 폐기물도 처리하면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다. 특히 소각장을 함께 운영하다 보니 아무리 밀폐시설을 갖춘다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새어나가는 악취에 대해서도 거부감이 없다. 그들이 생각하는 소각장과 열병합발전소는 친환경으로 가기 위한 발판인 것이다.

기후나 생활환경 등 우리나라와 매우 비슷하게 구성돼 있는 폴란드에서는 어떻게 집단에너지사업에 산재돼 있는 과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 등 폴란드의 에너지시장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분산형전원정책의 방향성을 알아보고 적용, 가능한 방안을 찾아보기 위해 폴란드 에너지부 에너지정책국장을 만나 집단에너지사업 정책에 대해 논의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