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도시가스 수요가 숫자가 1,000만 세대를 넘어섬에 따라 ‘도시가스 =국민생활 기본연료’라는 등식이 성립된다. 1,000만 세대는 단순한 숫자상의 통계를 넘어 우리나라 전 가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이로써 도시가스는 국민생활의 필수 산업으로 확실한 위치를 부여받는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책무를 담당해야하는 성숙한 산업의 반열에 오르게 된 것이다. 모두 알고 있듯이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 수요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석유 의존도가 50%에 달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도시가스의 보급 확대는 석유 위주의 에너지 소비와 공급 체계의 위험을 분산시켜 에너지원 공급의 다원화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2020년까지는 전체 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15.4%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국가 과제인 에너지원 다원화의 첨병 역할을 담당한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이처럼 도시가스 산업의 역할이 국가 경제와 국민생활에 필수적인 산업이 되어 갈수록 가장 신경을 써야 할 일은 안전관리 부문이다.

그동안 우리는 크고 작은 많은 가스사고를 경험해 왔다. 사고로 인해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고 고통스러워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가스는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재가 아니라 흉기이며 다시 떠올리기도 싫은 기억일 것이다.

또한 사고로 인해 가스 공급이 중단될 경우 국가 경제가 마비되는 심대한 피해 상황을 불러 올 수도 있다. 따라서 가스안전은 도시가스 산업이 숙명처럼 지고 가야 하는 첫 번째 명제이자 의무인 것이다.

최근 도시가스 부문의 안전관리 분야에 대한 규제완화를 놓고 정부가 업계의 의견을 수렴 중에 있다고 한다. 업계 쪽에서는 불필요한 규제를 대폭 완화해서 자율안전 관리 시스템을 정착시키길 원하고 있으며 정부측도 일정 부문 이 의견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연히 불필요한 규제나 제도는 철폐 또는 개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무조건 규제를 완화하자는 것은 안 된다. 규제의 양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작 필요한 것은 규제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다.

반드시 필요한 규제는 엄격히 지킬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안전 확보에 의미가 없는 규제는 과감히 철폐하는 규제 품질 향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