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최종에너지중 수소비중을 3%까지 성장시키고 2040년에는 15%까지 확대해 완전한 수소경제시대가 열리게 된다.

지난 15일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개최된 ‘친환경 수소경제 구현을 위한 마스터플랜(안) 공청회’에서 부경진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경제성장, 에너지자립도 제고, 환경개선을 3대 목표로 친환경 수송경제 강국 건설을 위한 마스터플랜(안)을 발표했다.

부 박사는 핵심기술 개발, 보급확대, 수소경제를 위한 제도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사업화를 지원, 2040년에는 최종에너지중 수소비중을 15%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선 장기적인 로드맵이 마련됐는데 우선 2020년까지를 기술개발단계, 2030년까지를 도입단계, 2040년까지를 상용화단계로 구성하고 각각의 단계에 맞는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부 박사는 연료전지가 상용화될때까지는 아직까지 6~7년의 시간적 여유가 있다며 핵심분야에 대한 집중투자를 통해 후발주자로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야별로는 수송용은 핵심기술인 스택기술을 조기확보해 완전국산화를 실현하고 가정용은 실증연구를 통한 신뢰성 및 내구성 확보, 수명연장, 저가 고성능화를 유도하는 것이 정책방향으로 설정됐다. 또 발전용은 대형화(Scale-Up)기술개발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플랜트 수출을 추진하고 휴대용은 경박단소화 및 고성능화 기술개발이 이뤄지도록 했다.

이같은 방안이 이뤄질 경우 2040년 총자동차 중 연료전지산업의 비중은 54%까지 올라가고 총 발전용 중 비중도 22%, 총 주택수요 중 비중도 23%까지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최종에너지중 수소비중도 15%까지 올라가며 특히 수소제조 중 신재생비중이 60%까지 올라가 완전한 무공해의 수소경제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됐다.

비전구현을 위한 투자비는 계획기간이 초장기인 관계로 정확한 투자비 산출이 곤란하지만 1단계인 2012년까지 전환비용으로만 3조2,000억원, 이중 정부재정 소요는 1조4,000억원으로 추산했다.

사업초기에는 R&D실증연구 및 시범보급 등을 통한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 정부가 일정부문 지원하고 시장기능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는 2020년부터는 제도개선 등 간접지원 중심으로 전환해 정부의 재정부담을 최소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수소경제 시대가 도래하면 자원중심, 에너지수입의 에너지 패러다임이 기술중심, 에너지자립의 패러다임으로 변모하고 에너지생산 및 공급방식도 중앙집중식에서 분산형 에너지수급으로 변모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경제도 현재의 수직적 체계에서 네트워크형 사회구조로 변모해 수평적 체계로 재정립되고 전 세계적인 에너지확보경쟁에서 벗어나 기술확보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 박사는 “연료전지와 수소산업은 2040년경 각각 GDP의 약 4.5%와 0.7%를 차지하고 총 100만명의 고용창출효과를 가져올 것이다”며 “특히 수소경제에 대한 투자유발효과로 2040년경 GDP는 BaU전망보다 5.2% 증가한 2,173조원에 이를 전망이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여론을 적극 반영해 수소경제마스터플랜의 확정안을 올해 내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