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1 가정주부 A씨는 모바일로 우리집 전력사용량이 이웃집보다 갑자기 많아진 것을 보고 정수기 온도조절 기능의 이상을 빨리 발견해 내고 전기를 아낄 수 있었다.

#2 가정주부 B씨는 세탁기와 건조기 가동시간을 전기요금이 저렴한 오후 7시로 예약해두고 아기옷을 세탁, 건조하고 있다.

#3 전기차로 출퇴근하는 회사원 C씨는 전기요금이 저렴한 밤에 전기차 배터리를 충전해 두고 회사에 출근하면 충전기에 접속한 뒤 요금이 비싼 낮에 배터리에 저장해 둔 전기를 거꾸로 공급해 추가 수익을 얻고 있다.

#4 정년퇴직한 D씨는 태양광 발전소를 지은 다음 전력중개사업자에게 전기를 팔아 수익을 얻고 설비도 주기적으로 관리받고 있다.

위 사례는 미래 스마트그리드 서비스 체험단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일상을 그린 것으로 정부는 사례와 같은 스마트그리드 서비스가 구현되는 체험단지 조성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제2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18일 열린 녹색성장위원회에서 심의·확정했다.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등 분산전원이 확대되고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이 융합되면서 지능형전력망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업모델이 활성화되는 추세다.

미국의 오파워(Opower)는 전 세계 6,000만명 소비자에게 실시간으로 수집한 전력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독일의 넥스트 크래프트베르케(Next Kraftwerke)는 창업한지 약 10년만에 4.6GW의 태양광, ESS 등을 모집해 전력을 거래하는 유럽 최대 전력중개사업자로 성장했다.

정부는 전기소비를 합리화하고 전력생산을 효율화하는 동시에 해외 사례와 같이 전력분야에서 에너지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정책방향을 담은 제2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제2차 기본계획은 ‘에너지전환 시대,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전력시장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스마트그리드 신 서비스 활성화 △스마트그리드 서비스 체험단지 조성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및 설비 확충 △스마트그리드 확산 기반 구축 등 4대 부문별 정책을 마련했다.

◇계시별 요금제·전력중개사업 등 스마트그리드 신 서비스 활성화

현재 산업용·일반용에 적용되고 계시별 요금제를 주택용으로 확대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약 2,000가구를 대상으로 2년간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대형 공장이나 빌딩 소비자가 참여하는 수요자원 거래시장은 국민 DR 시장으로 확대해 소형 상가나 주택용 소비자도 수요감축 요청을 받으면 스마트가전을 이용하거나 모바일앱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고 소비자가 직접 전기사용을 줄여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다.

소비자가 개인정보제공에 1회만 동의하면 일정기간 동안 한전이 전력사용정보를 사업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전력 빅데이터 플랫폼을 2019년부터 본격 운영, 이웃간 전기요금 비교, 국민 DR 등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확산하고 미국의 Opower와 같은 성공사례를 창출할 예정이다.

신재생에너지, ESS, 전기차 등 소규모 전력자원을 모아 거래하는 전력중개사업은 올해 말까지 시행령과 관련 규정을 개정해 제도를 마련하고 내년부터 전력중개시장을 개설, 본격 운영한다.

◇2개 도시에 스마트그리드 서비스 체험단지 조성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 체험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2개 도시 지역을 선정, 스마트계량기(AMI), 태양광, 전기차 충전기와 같은 분산형 전력설비를 집중·구축하고 계시별 요금제, 전력중개사업과 같은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내년부터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하나하나 실증, 2021년말 완공되는 세종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에 적용한다.

◇공공부문 중심 스마트그리드 인프라·설비 확충

국민 누구나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간대별로 전력사용량을 수집하는 AMI는 전국 2,250만호에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미래 재생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에 대비해 실시간으로 신재생발전소를 감시·제어할 수 있도록 2020년까지 신재생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

미래 스마트그리드 확산에 대비해 송배전망, 변전소 등 전력망의 정보통신(ICT) 인프라 확충에도 향후 5년간 2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스마트그리드 확산·산업계 혁신역량 강화 기반 구축

정책추진체계로 업계, 공공기관, 전문가, 소비자단체 등 민·관이 참여하는 ‘스마트그리드 정책 협의회’를 구성·운영한다.

인공지능·블록체인 등 요소기술을 활용한 기술개발 등에 5년간 4,000억원을 지원하고 2020년까지 개별기기와 전력망과의 상호운용을 위한 표준화 로드맵 개정을 추진한다.

DR사업·전력중개사업 표준약관을 제정하는 등 소비자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전력망 운영기술, 서비스 개발 부문을 중심으로 연구인력 양성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공공부문과 공동으로 5년간 4조5,000억원을 투자해 민간의 신시장 창출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부의 관계자는 “지능형전력망은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 등 분산자원을 전력망에 효율적으로 연계·통합하고 에너지신산업을 창출하는 혁신성장의 동력”이라며 “지능형 전력망 구축을 통해 에너지믹스의 전환을 넘어 에너지산업을 근본적으로 변혁해 에너지전환을 완성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2차 기본계획에서는 정책을 내실화해 소비자 관점에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