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에너지전환을 위해서는 에너지진단을 비롯해 에너지효율화사업에 주력해야 한다는 관계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에너지전환은 에너지원을 찾기보다는 효율향상을 통해 소비를 줄이는 것이 먼저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이 기술진보의 속도를 못 따라가고 있어 에너지효율사업에 발목이 잡히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에너지소비 증가는 에너지생산 증가를 부추긴다.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어떠한 형태가 됐든 에너지가 생산, 공급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소비가 줄지 않는 이상 환경파괴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문제는 에너지진단을 하더라도 이를 이행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정부가 에너지소비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에너지진단을 의무적으로 도입했지만 진단결과와는 달리 이행에 대한 실적은 미미한 상황이라고 업계는 토로했다.

에너지효율사업만으로도 에너지소비량을 크게는 80%까지도 절감할 수 있다. 정부가 그 일환으로 추진했던 LED교체사업이 그 실례다. 형광등이 주류를 이뤘던 당시 정부는 형광등이 소비하는 에너지가 상당한데다 그로 인해 실내온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에 착안,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에 LED도입을 의무화함으로써 가시적인 에너지절약효과를 거둔바 있다.

이처럼 일상적이지만 작은 실천을 통해 에너지를 효율화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문제는 정부에서 다양한 신기술들을 적용할 준비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기술의 진보와 달리 정책이 한 발씩 늦다보니 완성된 기술조차 적용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례로 차열제품에 대해서는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인증기준이 마련돼 적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국내 KS기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아 보급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효율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있는 것인지 미심적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에너지진단과 효율화사업을 일원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조심스럽게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현재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에너지진단을 통해 얻은 솔루션으로 입찰을 붙여 저가 낙찰제로 진행하다보니 솔루션에 대한 이행이 명확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진단에 대한 실효성이 대두되는 이유다. 정부가 에너지전환을 정책기조로 삼고 있고 이에 대한 의지가 확실하다면 에너지효율에 집중해야 한다고 관계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에너지효율화사업이 에너지전환의 성패를 가늠할 만큼 중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번만큼은 기술보다 뒤처지지 않도록 얼마나 의지를 갖고 이를 추진해 나갈 것인지 향방에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