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대원들이 충남 예산군의 ESS설비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사진제공: 예산소방서).
소방대원들이 충남 예산군의 ESS설비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사진제공: 예산소방서).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지난 2017년부터 올해까지 총 23건의 화재가 발생했던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대한 정부의 안전강화 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화재가 발생해 ESS 안전성 논란이 또다시 중폭될 것으로 우려된다.

1일 충남소방본부와 예산소방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오후 7시18분께 예산군 광시면 미곡리 한 태양광발전시설의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당시 12.5m² 규모의 ESS 2기 중 1기가 전소됐으며 또 다른 1기도 불에 탔다.

소방당국은 이로 인해 약 5억2,000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으며 ESS장치의 심한 소실로 인해 추가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또 ESS 화재가 발생하면서 국내시장에서의 ESS 수요부진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민관합동조사위가 ESS 화재원인을 발표하고 정부가 전주기에 걸친 안전기준과 관리제도 개선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또 화재가 발생해 ESS 안정성 확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당시 민관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최근 발생한 국내 ESS 화재는 제품 및 운영관리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 것으로 결론이 난 상황이다. 당시 조사위는 해당 배터리를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하면 위험요소가 될 수는 있지만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고 판단했으며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 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이 화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이에 정부가 제조, 설치 및 운영상의 기준을 강화해 ESS의 안전성을 확보해나가겠다는 방침을 정하고 관련업계와의 협의와 안내기준 배포 등을 진행해온 상황이다.

아직 화재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하지만 정부가 이번 화재원인을 명확하게 조사하고 해결하지 못할 경우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꼭 필요한 설비인 ESS산업의 침체를 불러올 수도 있으며 이는 곧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정책에도 악영향이 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최근 정부의 안전성 강화 조치에 미흡한 부분은 없는지 점검도 진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