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주도의 해외자원개발 시스템이 정착될 수 있게 재원, 인력, R&D 등 관련 인프라를 선진국 수준으로 마련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지난 2월 산업자원부의 자원개발과가 분리되면서 생겨난 자원개발총괄팀을 지휘하고 있는 신창동 팀장은 해외자원개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올해에는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협의회의 활발한 운영과 유전개발펀드의 시장 정착에 최선을 다한다는 각오다.

“자원개발총괄팀은 유전개발팀과 광물자원팀까지 총괄합니다. 올해에는 유전펀드와 에너지협의회뿐 아니라 전문인력 양성과 석유공사 개발부문 자회사 설립에도 박차를 가할 것입니다”

산자부 자원개발총괄팀 신창동 팀장을 만나 해외석유자원개발을 위한 향후 정책에 대해 들어봤다.

△ 자원개발총괄팀의 주요업무와 역할은

자원개발총괄팀은 국내 유전개발, 광물자원개발의 조정업무와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 수립 등을 총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지난 2월22일 출범한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협의회를 운영, 해외 동반진출에 대한 전략을 세우고 있으며 최근 순방한 아프리카 3개국을 포함, 14개국과의 자원외교 후속조치를 계획하고 있다. 앞으로는 IT산업과 연계한 동반진출도 구상중이다.

이와 함께 해외자원개발 시스템 혁신을 위해 △유전개발 펀드 등 재원확충 △석유공사 혁신 등 자원개발 전문기업 육성 △해외자원 전문인력 양성 및 R&D 해외자원 정보시스템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목표는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협의회의 성공적인 자리매김과 유전펀드가 시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협의회 운영과 향후 계획은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협의회의 역할은 자원보유국이 필요로 하는 수요에 맞춰 우리의 강점인 에너지 인프라 산업과 자원확보를 연계하는 동반진출 모델을 발굴, 지원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CIS,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지역에 민관합동 조사단을 파견해 지역별 동반진출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따른 세부 유망프로젝트를 발굴, 국내 최적의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단계별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 2월 협의회 출범 이후 현재 에너지 산업계뿐 아니라 통신, 금융,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의회 추가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협의회가 구심점이 돼 앞으로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세부전략을 수립하는 전략본부의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유전개발펀드의 운영은 어떻게 이뤄지나

유전개발펀드가 해외자원개발의 새로운 재원조달 수단으로 시장에 정착될수 있게 올해 관련제도를 마련하고 하반기에 시범펀드를 출시 할 것이다.

유전개발사업은 고위험, 고수익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우려를 더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다. 이에 따라 유전개발펀드가 활성화 될 수 있게 여러정책 수단 도입을 추진중이다.

우선 펀드의 세제상 혜택을 최소 여타 실물 펀드 수준이 될 수 있게 현재 관계부처와 협의를 진행중이며 투자 위험 완화를 위한 보증제도 도입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

유전개발사업의 평균 투자기간은 6~7년이며 사업 성공확률은 탐사정 15%, 생산정 80% 임을 밝힌다.

△ 석유공사 개발부문 자회사 설립 진행상황은

석유공사 개발부문이 일일 15만배럴 생산규모를 갖출때 까지는 현행체제를 유지할 것이다. 이에 석유공사 개발부문 역량강화를 위해 현재 재정지원을 확대중이다. 지난해 731억원이었던 출자규모를 올해 1,645억원으로 확대했으며 연간 2,000억원 규모의 유전개발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전문인력 지속 확충 및 해외 거점 설립 등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국회 등과 논의를 거쳐 개발부문 자회사 설립을 위한 석유공사법 개정작업도 준비할 생각이다. 이와 함께 석유공사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출자금 확대는 물론 예산처와 협의해 사업 확대에 따른 전문인력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이 계획대로 성사된다면 2009년쯤에 개발부문 자회사 설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석유·자원개발에 필요한 인재양성 준비는 어떻게 되가나

석유·자원개발 확충을 위해선 전문인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2015년까지 총3,6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비용은 총1,83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현재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다.

무엇보다도 외환위기 이후 자원개발 인재양성 인프라가 붕괴됐기 때문에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연구 인프라 구축에 최우선 적으로 힘쓰고 있다. 세부적으로 인재교육 및 R&D를 담당하는 ‘자원개발기술·정보센터’ 설립과 양성인재에 대한 병역특례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오는 9월 인재양성 첫 시도로 ‘자원개발아카데미’를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2억원을 지원해 약 20명을 교육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