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올해 세계 에너지투자 규모가 전년대비 19.6% 감소한 1조5,195억 달러로 역대 최고 연간 하락폭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에너지투자 감소는 에너지수요 감소 및 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익성 저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및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각국의 국경봉쇄 및 이동제한 조치 등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김수린 해외정보분석팀 전문연구원과 김창훈 연구위원은 ‘IEA의 2020년 세계 에너지투자 전망과 시사점’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우선 올해 연료공급부문의 경우 전년 대비 30.3% 감소한 5,949억 달러로 셰일산업 상류부문에서의 투자가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발전부문은 에너지수요와 전력가격 하락으로 화석연료 발전에 대한 투자가 급감하겠지만 각국 정부의 재생에너지발전 프로젝트 지원으로 재생에너지발전에 대한 투자는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에너지효율・최종사용부문의 경우 전년대비 약 12% 감소해 2,466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별로는 중국에서는 올해 1분기 국경봉쇄 조치가 조기 해제됨에 따라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투자 감소폭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은 석유・가스에 대한 투자가 급감하고 유럽은 분산형 태양광 및 석유・가스 부문 투자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공공자금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에서는 발전부문에 대한 투자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2020년 에너지부문 투자부진 심화로 에너지시장 불균형 확대가 우려되며 탄소배출 감축목표 달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 주도의 투자와 에너지기술에 대한 투자가 중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에너지수요 증가에 비해 투자가 부진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에너지부문 투자부진이 더욱 심화되고 특히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연료공급부문 및 발전부문 투자 규모는 IEA가 가정한 ‘기존정책 시나리오(Stated Policies Scenario, STEPS)’와 ‘지속가능발전 시나리오(Sustainable Development Scenario, SDS)’ 상에서의 2025~2030년의 연평균 투자 규모보다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래 에너지시장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대두됐다.

현재의 투자 감소가 지속될 경우 향후 에너지시장 불균형이 심화되고 수급・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석유・가스 공급부문에 대한 투자가 올해 수준에서 머물게 될 경우 2025년에는 석유 공급이 900만배럴, 가스 공급이 연간 240Bcm 감소하는 등 수급 불균형이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코로나19 사태로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배터리저장, 에너지효율, 원자력, 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 기반 수송・열(Renewable Transport & Heat)을 포함한 청정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겠지만 지난 2015년 이래로 이들에 대한 투자 규모가 연간 6,000억달러 수준에 그쳐 전 세계 탄소배출 감축과 지속가능개발 목표 달성이 불확실할 것으로 예측됐다.

올해 청정에너지 및 에너지효율에 대한 투자가 감소하겠지만 총 에너지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4%p 증가해 37%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경기회복과 탄소배출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공공부문 에너지투자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부 국가에서 경기침체로 인한 유동성 악화 등으로 인해 석탄사용이 확대돼 탄소배출이 증가하는 반면 자본집약적인 장기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지속성은 저해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에 승인된 신규 발전 프로젝트 중 석탄의 비중이 전년보다 2배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중국에서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다.

발전부문 투자의 95% 이상이 정부의 정책 지원을 받고 있으므로 발전부문에 대한 투자 감소폭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정책과 공공부문의 에너지투자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 에너지투자에서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59%인 반면 선진국에서는 9%에 불과한 실정이다.

경기부양 목적을 위해 수송·건물부문을 중심으로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에너지부문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저탄소 전력 확대 및 수송, 열, 효율 등과 관련한 에너지기술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