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자동차에 부과되는 개별소비세 감면 정책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년 동안 증가한 자동차는 54만5,122대에 머문 가운데 경유와 LPG, 전기차의 감소세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2050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드라이브가 강화되면서 전기와 수소차가 앞으로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아직 인프라 부족과 충전소 운영에 따른 경제성 부족이 친환경차의 폭발적 증가에 장애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부족한 인프라 건설 및 운영에 대한 지원과 친환경차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 지급이 더 확대될 경우 수소전기차 보급은 더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이들 사업에 대한 지원과 보조금 지급은 에너지 연료간 형평성에 어긋나 역차별울 초래할 뿐 아니라 휘발유나 경유, LPG 등에 부과되는 세수가 줄게 돼 정부의 세원 발굴에 대한 부담만 높아질 우려도 없지 않아 보인다.

국토교통부에서 집계한 연료별 자동차 등록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1년 등록된 자동차는 2,491만1,101대로 전년 2,436만5,979대에 비해 54만5,122대가 늘어나 2.24%의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68만8,613대가 증가했던 2020년에 비해서는 14만3,491대가 감소했지만 2019년 47만4,811대가 증가했을 때에 비해서는 7만311대가 더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경기상황을 고려했을 때에는 어느정도 선방을 했지만 개별소비세 지원 등 정책적 측면에서는 부진한 상황을 연출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료별로는 휘발유차가 지난해 12월말 현재 1,263만271대가 등록돼 전년 1,206만213대에 비해 57만58대가 늘어났으며 전체 등록차량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49.51%이던 것이 50.7%로 올라섰다.

반면 경유와 LPG, CNG차량은 부진을 면치 못해 여전한 감소세를 나타냈다.

2020년 1,000만대 시대를 열었던 경유차는 지난해 10만6,329대가 감소해 989만3,868대가 등록했으며 이로 인해 전체 등록 자동차에서 차지하는 경유차 점유율은 41.04%이던 것이 39.72%로 2.34% 낮아졌다.

1만5,297대에 이르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한 LPG차는 196만971대가 등록돼 전년 199만5,740대에 비해 3만4,769대가 감소했으며 2,491만1,101대에 이르는 전체 차량에서 LPG차 점유율은 7.87%로 전년 8.19%에 비해 0.32% 낮아졌다.

시내버스 중심으로 증가했던 CNG차량은 3만5,528가 등록돼 전년 3만7,266대에 비해 1,738대가 줄었으며 점유율도 0.15%이던 것이 0.01% 떨어진 0.14%를 기록했다.

정부가 공공기관 또는 노선버스 등을 대상으로 전기나 수소버스 보급을 확대한 영향이 CNG차량 감소에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를 비롯해 경남 창원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올해 노선 버스에 전기나 수소버스 투입을 계획하기도 하면서 올해 CNG버스의 감소는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전기와 수소차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5만5,756대에 불과했던 전기차는 지난해 23만1,443대가 등록되면서 2020년 13만4,962대에 비해 9만6,481대가 늘어났다.

고속도로를 비롯해 주유소 등에 전기차 충전소 설치도 확대되고 있을 뿐 아니라 화물차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 지원 정책을 통한 확대 보급에 2만여대 이상이 올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인프라 부족과 비싼 차량 가격 등으로 인해 수소차의 경우 지난해 1년동안 8,498대 증가하는 것에 머물렀다.

2018년 893대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수소차가 크게 증가했지만 지난해 1만9,404대가 등록돼 2020년 1만906대에 비해 수소차 점유율은 0.08%로 2배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다.

미세먼지 감축과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정부가 전기 및 수소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다양한 정책도 쏟아내고 있지만 현실을 고려한 연착륙 방안도 고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휘발유나 경유 등 석유제품을 취급하는 주유소나 LPG자동차 충전소를 활용해 전기 및 수소차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는 기반으로 활용해야 하지만 전기·수소 중심의 일방적 정책 추진은 이들 기반시설을 잃게 될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상황이다.

주유소나 LPG충전소가 수소·전기차 충전 인프라로 활용되지 않고 신축 건물이 들어서가나 물류기지로 활용될 경우 수소·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반도체 수급에 차질을 빚어지면서 전기 및 수소차 구매 예약에도 제때 차량을 인도받지 못하는 현상이 적지 않는 실정인데 정부가 수소 및 전기차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LPG차 등을 활용해 점진적 친환경차 전환을 이뤄가도록 하는 정책적 조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비춰볼 때 현장과 관련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한 환경 및 에너지 정책이 수립되고 추진돼야 순탄한 친환경차 전환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평가에 정부가 귀를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높은 대목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