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울산시 남구 SK에너지 울산공장 내부에 설치된 에너지저장장치(ESS)설비에서 12일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원인조사에 착수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배터리기업들의 ESS 안전대책에도 불구하고 ESS설비 화재가 매년 발생하고 있어 명확한 원인조사와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내에서 ESS 관련 화재사고는 2017년부터 이번 SK에너지건을 포함해 현재까지 32건이 발생했다. 이들 사고는 내부 공장 비상용전원용 설비에서 불이 난 이번 SK에너지건을 제외하곤 태양광과 연계한 설비에서 발생해서 국내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필수로 여겨진 ESS산업 활성화에 악영향을 주기도 했다.

실제 화재사고 이후 ESS에 대한 REC 가중치와 요금할인제 등이 모두 일몰되는 등 정책적인 지원이 대폭 줄었으며 ESS 관련 시장도 대폭 줄어들기도 했다.

아직 사고원인에 대한 조사가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번 화재사고는 SK에너지 공장 내부 건물에서 정전 등 비상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치한 ESS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해 배터리 결함 등의 이유로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ESS업계의 관계자는 “ESS 배터리는 시장에 공급하기 전 생산후 고장여부 등을 실험하기 위해 검수과정에서 PCS 등 설비를 연결해 30% 정도를 충전한 상황에서 보관·판매를 진행하며 공장, 건물 등의 비상전원용으로 사용할 경우 평소 85% 정도 배터리를 충전해두고 전원설비를 켜둔 상태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다만 30~85% 배터리를 충전해두는 것으로는 과충전으로 인한 배터리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번 화재 원인은 실수로 과충전을 했거나 배터리 자체 결함 등 여러 가능성을 두고 원인조사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고가 태양광발전소와 연계한 사례는 아니었지만 ESS에서 화재가 발생한 만큼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2019년 정부에서 ESS 화재사고 원인을 밝혀내고 각종 안전대책을 수립했음에도 매년 관련 화재사고가 이어지고 있어 가뜩이나 산업이 침체된 국내 ESS산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대책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2019년 당시 정부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운영환경관리 등 제조·설치·운영 단계별 관리소홀이 연이은 ESS 화재사고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제조·설치·운영·소방 각 단계별 종합안전강화대책을 추진해왔으며 국민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해 현장실태조사, 정밀안전진단, 안전관리자교육 등 다각적인 대응조치를 취해 왔다.

특히 사고원인으로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이 확인되면서 정부뿐만 아니라 국내 배터리 관련기업들도 안전대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수립·이행해왔다.

이런 와중에도 태양광 연계 ESS의 화재는 이어졌고 이번 SK에너지 공장 화재로 인해 ESS에 대한 각종 오해와 불안감이 확대될 위험성이 높은 만큼 정확한 원인규명을 실시하고 추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에 정부와 관련기업의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