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수소경제 전환을 위해서는 수소를 얼마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느냐, 즉 인프라가 관건이다. 정부 역시 이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부에서는 민관 합동으로 ‘도시가스 수소혼입 실증 추진단’을 구성해 2026년 도시가스 수소 20% 혼입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부터 도시가스 배관 및 사용기기의 수소 호환성 및 안전성 등 실증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수소혼입은 이론상 70%까지는 가능하나 안전을 고려해 20%로 정한 듯하다. 

수소혼입은 도시가스 공급 배관에 수소를 도시가스와 혼입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이다. 또한 전국에 설치된 5만km의 도시가스 배관망을 활용해 수소 전용배관망이 갖춰지기 전에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공급방안이다. 

박기영 산업부 2차관도 도시가스 수소혼입은 온실가스를 감축할 뿐만 아니라 수소 공급의 경제성 제고와 수소경제를 가속화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수소가 수송용 연료뿐만 아니라 가정과 산업시설을 위한 주요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힌 만큼 수소 인프라 확대에 대한 정부의 기대감을 엿볼 수 있다.

수소혼입이 상용화되면 가정용 가스보일러 및 가스레인지, 산업용 보일러, CNG 버스는 물론 발전용 가스터빈 등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모든 가스기기에 수소 사용이 가능하게 돼 수소 수요 역시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도시가스에 수소를 20% 혼입할 경우 기존대비 효율은 떨어지게 된다. 수소의 비중이 도시가스대비 1/3이라 기존 화력 수준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관을 키우거나 압력을 높여야 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수소의 화학적 특성(수소취성)으로 수소가 금속(배관)에 닿으면 금속을 무르게 해 파열을 일으킬 수 있다. 그렇다고 보일러 등 도시가스 사용 기기를 전부 교체하고 배관도 교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러기에 추진단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2023년~2025년까지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수소 호환성 및 안전성 검증을 하게 된다. 하지만 단 3년 실증이 장기적 관점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26년 ‘도시가스사업법’을 개정해 수소혼입을 제도화하기 이전에 추가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함께 제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