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규 기자
▲송명규 기자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2020년 이전까지만 해도 국내 ESS(에너지저장장치)분야는 세계시장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앞서나가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까지 약 2년간 발생한 ESS 화재 사고로 인해 수주가 급감하면서 파산 위기까지 몰리고 있다.

특히 온갖 안전조치가 정부 차원에서 진행됐음에도 화재사고만 나면 ESS에 대한 신용이 떨어지면서 시장 활성화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ESS는 재작년, 지난해 통틀어 수주 실적이 전무하며 사업 전망은 더욱 부정적인 상황이다. 지금까지 사업을 진행해온 기업 중 80% 가까이가 사업을 포기하거나 사업 물량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물론 정부도 ESS 화재 문제에 대한 원인 규명에 착수했지만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으며 ESS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을 모두 끊어버린 것도 업계 어려움에 한 몫을 했다. 

더군다나 ESS는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정부 출범시기부터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를 권하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하며 시작해왔던 산업인데 현 시점에서는 이런 의지를 찾아보기 어렵다. ESS에 적극 투자해온 사업자들은 정부가 지속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표방하고 ESS와 연계했을 경우 가중치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믿고 뛰어든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재생에너지 확대만 달성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간헐성이 높은 태양광, 풍력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겠다는 것은 모순일 수밖에 없다. 간헐성이 높은 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를 효율성있게 활용하는 분산형전원구축을 위해서라도 ESS산업을 활성화할 정부 차원의 대책은 필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