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복 H2KOREA 단장.
김성복 H2KOREA 단장.

 

[투데이에너지 유정근 기자] “H2KOREA는 국내기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소사업에 투자계획을 수립·실행할 수 있게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겠다”

김성복 H2KOREA 단장은 수소경제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H2KOREA가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2월 수소법 시행 이후 정부는 수소 생태계 조성에 근간이 될 수소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 실증, 해외진출 등의 행정적 지원과 재정적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김성복 단장은 “이에 따라 H2KOREA는 지난 2021년 수소전문기업 30개사를 선정해 기술·경영 컨설팅, 시제품 제작 지원, 현장애로 해결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H2KOREA는 지난해 5차에 걸쳐 총 30개의 수소전문기업을 선정했으며 정부가 목표하고 있는 2025년 100개, 2030년 500개, 2040년 1,000개 전문기업 육성 전략이 완수될 수 있도록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김 단장은 “현재 수소전문기업의 기술사업화와 판로개척, 애로사항 해소 등을 위해 수소전문기업 전용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특히 H2KOREA 내 설치된 수소혁신데스크를 통한 기업 방문 상담, 맞춤형 기술·경영컨설팅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 단장은 “기업체에서 재무재표 등이 발행되는 4월을 기점으로 올해 수소전문기업 최소 30개사 선정에 본격 나설 방침이며 이를 통해 2025년 100개사 지정을 조기 달성하고 나아가 2040년까지 총 1,000개의 수소전문기업 발굴 육성을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단장은 “특히 올해는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의 잠재력 있는 기업을 수소전문기업으로 성장시키는 예비수소전문기업 제도를 도입해 수소경제 산업생태계를 강화해 나아갈 예정”이라며 “현재 수소충전소 등 수소산업 생태계가 갖는 지역별 여건에 불균형 문제는 정부 정책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해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단장은 “수소에너지는 지역 편중 없이 인류가 이용할 수 있는 궁극의 에너지원이며 현재 초기단계인 점을 감안하면 지역적 편차가 존재하나 향후 중·장기적으로는 수소산업 생태계가 고루 형성돼 지역경제와 고용창출에 가시적 성과를 도출 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정부도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등 정책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 단장은 “현재 지역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수소 인프라 및 산업 특성을 고려한 초광역권 협력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라며 “이는 지역별 수소산업 협력방안과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전략으로써 지역 간 수소 생태계 활성화 추진으로 불균형 문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해 나아가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에 이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이 발족하며 본격적으로 수소경제 민간투자의 물골이 트였으며 이 같은 계획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도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26일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법정계획인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발표했다. 균형감 갖춘 전주기 생태계 조성으로 청정수소경제를 선도하겠다는 것이다.

김 단장은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기금·펀드 등을 통한 금융지원, R&D·시설투자 등의 세제지원, 제품의 수출 및 해외 현지실증 등의 국제협력 내용이 포함돼 있다”라며 “여기에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수소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된다면 민간 투자계획의 긍정적 파급효과는 더욱 클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 단장은 “수소강국으로 가기 위해선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후속 대책, 수소법과 이행계획이 박자를 맞춰 성실히 이행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단장은 “수소경제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전세계적 에너지 트렌드로 멈출 수 없는 당대 과제로 남아있다”라며 “기본계획의 실행력이 대한민국 수소강국으로 도약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 단장은 “수소산업, 인프라, 정책 등이 완비돼 규모의 경제가 형성될 때까지 정부 주도의 리더십 강화와 민간의 투자계획 확대 및 실행이 중요하다”라며 “이에 따라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과정에서 가치사슬 전후방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으며 기업 간 상생협력구조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