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정부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LPG·CNG 등의 차량을 제3종 저공해차 분류에서 삭제시키려던 계획을 일단 보류시켰다고 한다. 

전기·수소차를 1종으로, 하이브리드를 2종으로, LPG와 CNG 등 가스차량을 제3종으로 분류한 현 체계를 1종만 남겨놓고 2종과 3종을 없애 배출가스가 없는 무저공해 차를 최우선 보급할 예정이었다. 

수송용 차량 가운데 화물차를 수소전기차로 바꿔 나가기 위해서는 아직 인프라는 물론 차량 가격 및 보급 대수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준비가 아직 부족해 보인다. 

2021년 기준 등록된 1톤 화물차는 경유가 96%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전기와 LPG트럭은 각각 2%를 밑도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연간 14만대를 약간 웃도는 수준으로 판매가 이뤄진 1톤 화물차는 지난해 경유트럭이 72.8%, 전기트럭이 18.8%, LPG가 8.3% 수준에 그쳤다. 

미세먼지와 유해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마당히 전기와 LPG차가 더 많이 보급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경유차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비와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경유트럭이 낫다는 인식이 높은 점유율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코로나19 재확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금리인상 등의 여파로 최근 경유가격이 휘발유가격보다 더 비싸지는 상황이 닥치면서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다.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수송부문도 수소전기 등 무저공해, 친환경차로 바꿔나가지 않는다면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 쉽지 않다. 

수소전기차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차량 보급도 이뤄져야 하겠지만 인프라와 전기·수소차 충전 요금도 소비자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미 도심과 지방 곳곳에 갖춰진 주유·LPG충전 인프라를 최대한 수소 및 전기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시켜 나가고 차량 보급도 뒷받침되는 여건이 충분히 갖춰져야 한다.

경유트럭을 LPG차로, LPG·CNG차량이 수소·전기차로 자연스럽게 전환되고 LPG산업 및 관련 부품업계도 현실적 대비를 통해 무저공해 사회로 연착륙시키고 발전적 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관심과 지원도 뒷받침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