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윤석열 정부의 에너지정책 기조는 원전발전 비중 상향과 동시에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무분별한 확대보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확대 정책을 추진해 탄소중립 실현이 가능하다는 논리인데 여기에는 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수용하기 위한 송전선로 등 전력망 문제 등 각종 시스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포함이 돼야 한다.

현재의 에너지 및 전력시스템에 큰 변화를 줄 수밖에 없는 만큼 현실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재생에너지 보급과 전력화 체계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사실 태양광, 풍력, 수소 등 에너지원별 보급 확대를 이어가는 것은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문제는 전력공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느냐가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 연결하는 송전선로 및 에너지저장장치(ESS)가 부족한 것이 국내 전력산업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전력계통의 유연성이 미흡하다면 결과적으로 재생에너지 활용의 효율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재생에너지 확대 경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전력망 혁신 및 투자 확대가 중요하다. 재설비 확충, 운영시스템 개선 등 전력망 혁신을 위한 투자가 요구될 수밖에 없다. 

특히 온갖 안전조치가 정부 차원에서 진행됐음에도 화재사고만 나면 사업침체를 불러오는 ESS에 대한 신뢰성 확보도 중요하다.

ESS는 재작년, 지난해 통틀어 수주 실적이 전무하며 사업 전망은 더욱 부정적인 상황이다.

물론 정부도 ESS 화재 문제에 대한 원인 규명에 착수했지만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으며 ESS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을 모두 끊어버린 것도 업계 어려움에 한 몫을 했다. 

재생에너지 확대만 달성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간헐성이 높은 태양광, 풍력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겠다는 것은 모순일 수밖에 없다. 간헐성이 높은 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를 효율성있게 활용하는 분산형전원구축을 위해서라도 ESS산업을 활성화할 정부 차원의 대책은 필수다.

다만 특정 에너지원의 위축과 소멸보단 서로가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대체해나갈 수 있으며 전력산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질 방안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