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규 기자
▲송명규 기자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를 불러온 SK C&C 판교 캠퍼스 데이터센터 화재가 지하 전기실 내 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면서 ESS(에너지저장장치)안전성 논란이 다시 나올 것으로 우려된다. 

ESS의 역할을 강조하면서도 현실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법제도를 정비하지 않은 정부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가 없는 대목이다. 화재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한 기술적인 제도와 동시에 이를 적극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완벽한 법규가 필요하다고 지난 몇 년간 강조됐으며 그 과정에 ESS로 인한 화재가 이어졌음에도 제도적인 조치는 미흡했다. ESS로 화재가 날 때마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나왔지만 명확한 안전대책은 나오지 않았다. 

산업부가 지난 몇 년간 발생한 화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면서 최종적으로 내놓은 ‘ESS 안전강화 대책’은 배터리 열폭주를 막기 위해 배터리 충전율을 옥내 80%, 옥외 90%로 제한하고 있는 것 뿐이다. 문제는 배터리가 옥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율을 90%로 유지해 온 이번 판교 데이터센터의 경우처럼 발전소나 데이터센터가 임의적으로 충전율을 조정하는 것에 대한 법적 규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강제화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지도 없다.

정부가 지난 2017년부터 에너지저장장치인 ESS 설치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지만 정작 공공기관의 이행률은 저조하다. 화재 등의 위험성을 안고 가느니 그냥 설치 안하고 만다는 논리가 만연한 것으로 보인다. 

화재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적인 실증이나 R&D 지원은 고사하고 그냥 애물단지 취급하고 마는 것이다. 진짜 문제는 정부가 이런 미온적인 ESS의 운영실태를 알면서도 적극적인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문제는 방치하고 외면한다고 해서 사라지지 않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