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시현 기자
▲홍시현 기자

[투데이에너지 홍시현 기자] 정부가 ‘제2의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서둘러 내놓았다. 이번 조치의 핵심은 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이다.

지난 10월 카카오톡 서버를 운영 중인 SK C&C의 판교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서 장애가 발생했다. 이번 서비스 장애로 인해 ‘카카오톡’ 서비스가 중단되며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수많은 사용자가 피해를 입었다. 

이에 서버를 이중으로 설치·관리해 한 곳 서버 장애가 생기면 다른 곳 서버를 신속히 이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데이터센터가 필요하다.

데이터센터는 서버·스토리지·설비를 연중 일정한 패턴으로 24시간 운영하는 대표적인 전력다소비시설로 전국 142개 데이터센터의 전력사용량이 강남구 전체 계약호수(19만5,000호)의 전력사용량과 유사하다. 

문제는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의 집중돼 있다는 것이다. 향후 지어질 데이터센터 역시 수도권으로 고려되고 있다.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은 데이터 보안, 전력계통, 지역 균형 발전 등 부작용이 야기할 수 있다. 결국 정부에서는 신규 대규모 전력 수요에 대한 평가체계 강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선, 지역 분산을 위한 인센티브 도입, 지역 전력수급 여건과 연계된 분산화 전략 등 수도권 완화 방안을 내놓았다. 

현재 내놓은 수도권 완화 방안은 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 이유에 대한 분석이 다소 부족한 것이 아닌가 싶다. 수도권은 전력, 통신, 수도 등 발달된 인프라로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영 인력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정부에서 연내 내놓을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완화 종합대책에는 수도권 집중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대안이 담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