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병인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천연가스 시장이 급변하면서 업스트림부문에서의 투자환경도 같이 급변하고 있다.

전쟁이전 석유, 가스 등의 메이저기업들은 에너지전환 정책 가속화, 저유가 지속, ESG 경영 압박, 자금 지원 중단 등에 의해 자본회수 기간이 긴 석유, 가스 부문에 대한 신중한 투자를 이어왔다. 

당시 기후위기로 인한 탄소중립에 대한 문제가 대두됐으며 천연가스의 과잉생산으로 인해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기업들이 투자를 주저하게 된 것이다.

특히 기후변화가 불러올 금융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위기에 따라 각국 금융권에서는 석유, 가스 상류부문에 대한 자금지원 중단을 선언하면서 신규 가스전 개발을 위한 자금확보가 어려워 지기도 했다.

또한 신재생,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 됨에 따라 천연가스 등 탄소 기반의 에너지원 의 수요불확실 문제도 발생했으며 이에 천연가스 업스트림에 대한 투자가 경색되는 모습을 보였다.

투자비 감소추세가 이어지다 코로나19까지 창궐한 2020년에는 201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2021년에는 다소 반등한 3,800억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코로나19로부터 회복세에 접어들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업스트림부문에 대한 투자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해외 메이저 기업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석유, 가스 가격강세가 지속되고 공급 안정성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각 에너지기업들은 업스트림부문에서의 투자비를 연초 계획보다 대폭 상향 조정하고 있다.

우드매킨지 등 주요 기관의 추산에 따르면 올해 세계 업스트림부문 에너지기업들의 투자비는 고유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한 4,200억달러로 나타났다. 세계적인 공급망 붕괴로 인한 자원안보의 중요성, 물가 상승에 따른 원자재 비용 상승이 투자비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투자가 이뤄진 만큼 천연가스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가격이 급격하게 올라갔기 때문이며 이에 유럽에 수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미국의 독립계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생산량 조정은 미미한 상황이다.

전쟁으로 인한 대 러시아 제재가 뒤따르면서 국제 LNG 시장이 수급이 상당히 불안해지고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함에 따라 LNG 수출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가격 급등, EU의 초과수익 환수 계획 불렀다
국내 전력시장에서 SMP 상한제를 두고 민간사-정부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에서도 에너지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익상한제를 설정해 초과이익을 환수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워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9월 스트라스부르 유럽의회에서 개최된 연례정책회의에서  수익상한선을 MWh 당 180 유로로 한시적으로 설정하고 초과로 발생한 수익은 환수해 전기요금 인하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발표됐다. 

즉 전력 계통한계가격(SMP)의 상한선을 두겠다는 국내 정책과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석탄, 신재생 등 저생산단가 발전사들의 큰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EU는 천연가스, 석유, 석탄 등 기존 화석연료기업들의 초과이익을 환수해 연대기여금을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천연가스, 석유, 석탄기업의 직전 3개년 평균의 20%를 초과할 경우 초과이익을 환수해 에너지요금 인하에 활용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환수된 연대기여금은 취약계층, 전력시장 안정화, 에너지전환 등의 지원금으로 사용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이 실시될 경우 가장 많은 피해를 받는 기업은 바로 천연가스전, 유전 등을 보유한 기업들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유럽은 천연가스가격과 전력가격의 동조화 현상을 줄이기 위해 대대적인 전력시장의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다만 국내에서처럼 정책을 통한 과도한 에너지시장 규제가 진행될 경우 시장원리 침해 등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에너지기업들의 반발 등도 거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유럽연합의 논의와는 별개로 영국, 포르투갈, 프랑스 등 일부 유럽 국가들은 초과이익이 발생한 에너지기업에 세금을 부과하는 이른바 ‘횡재세’를 검토하고 있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