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인 기자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수소전기차 확보 보급, 알뜰주유소 운영 등으로 일반 주유소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정유사의 직영 및 임대, 일반주유소에서 판매되는 기름값을 낮춰 소비자 후생을 높이기 위해 알뜰주유소 운영에 대한 실익이 없지는 않지만 일반 주유소의 경쟁 요인으로 작용돼 주유소 경영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임에는 분명하다. 

여기에다 기름값의 절반 안팎을 차지하는 유류세도 카드 수수료에 포함돼 있어 셀프, 세차장 및 푸드코너 등 수익을 올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지만 이마저도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전기 및 수소차 확대로 판매량이 줄고 알뜰주유소와의 경쟁이 더 치열해지다보니 일반 주유소 운영이 쉽지 않아 휴폐업 주유소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임차된 휴·폐업 주유소가 장기간 방치되면 안전사고는 물론 토양오염 등과 같은 문제를 초래시켜 개선방안이 필요하지만 정작 제대로 된 대책 마련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 때 국민권익위는 장기 방치 휴폐업 주유소의 안전조치를 비롯한 관리체계 개선방안 마련을 소방청을 비롯해 환경부, 산업부에 제도 개선을 권고했지만 이마저도 실효성있는 대책 마련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주유소 운영에 따른 수익률이 1%도 채 안되면서 경기도를 비롯해 경상도, 전라도 등으로 휴폐업 주유소가 늘어나고 있고 급속한 노령화와 함께 인구감소가 이뤄지고 있고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돼 휴폐업 주유소는 더 많아질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이처럼 한계에 놓인 주유소, 전기 및 수소차 확대로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좌초자산에 대해 정부는 주유소 운영인들에게만 책임을 부담하라고 하고 방치하는 것은 대안 없이 방치하겠다는 것과 진배없다. 

운영이 어려운 주유소를 전기수소차 충전소로 활용하거나 휴폐업 주유소에 대한 퇴로 마련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주유소나 LPG충전소 또는 전기·수소충전소는 사적 측면에 공익적 측면도 없지 않다. 이들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으면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은 물론 국제사회와 약속한 2050 탄소중립 달성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한계에 놓인 주유소와 휴폐업 상태인 주유소를 전기·수소 등 복합충전소로 활용해 에너지신산업 성장 동력화로 활용하며 전력수급 및 신재생에너지 전력계통 부담을 완화해 탄수중립과 기후변화 대응에 효율적으로 활용해 나가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