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kg당 8,800원으로 형성됐던 수소충전소 판매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며 충전 인프라 구축이 목표 대비 더뎌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생수소는 물론 개질을 통한 수소생산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경제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필요한 물량을 저렴한 가격으로 수소 구입이 이뤄져야 할 뿐만 아니라 판매를 통한 수소충전소 운영 수익 창출이 가능해야 하지만 아직 이런 환경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일부 충전소는 흑자 운영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많은 수소충전소가 수소생산 단지와 거리가 멀고 수소모빌리티 인프라가 활성화 돼 있는 지역처럼 대량 구매를 통해 싼 가격으로 구매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90% 이상의 수소충전소가 여전히 적자 운영을 하고 있으며 인건비와 충전소 운영 유지관리비까지 포함할 경우 더 많은 곳이 적자 운영을 지속해 오고 있다.  

얼마 전 하이넷은 수소판매가격을 종전보다 12.5% 인상한 9,900원으로 올렸다. 이후 가스공사도 수도권 기준으로 종전 6,800~7,200원 안팎이었던 수소 최저 입찰가격을 2023년도에는 8,260원으로 올려 사실상 수소가격을 상향 조정에 나섰다. 

유럽 천연가스 가격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년대비 LNG가격 10배 폭등하면서 개질을 통한 수소공급 가격을 올려야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지만 각종 비용만큼 인상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후변화 대응과 함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미래 에너지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고 하지만 경제성은커녕 적자 상태의 운영을 언제 지속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수소차 보급 확대를 통한 수송용 수소물량을 뒷받침하고 인프라 확충을 통해 수소산업이 활성화되도록 정책을 펼치지만 아직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을 서둘러 타개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정부는 2025년까지 20만대의 수소차 보급할 계획이었지만 11월 현재 2만9,000여대에 머물고 있으며 수소충전소도 올해말까지 310개소를 구축할 예정이었지만 203개소가 구축돼 있어 차량보급과 인프라 구축이 계획대비 미흡한 수준이다. 

수소생산을 늘리고 판매가격을 낮춰야 하지만 현실은 수소 공급가격이 오르고 있어 정부 기대와는 따로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수소 공급 및 판매가격을 올리고 싶지만 수소경제를 앞당기기 위한 정부의 인프라 구축 및 수소차 등에 대한 각종 보조금 제도를 시행중인 정책 방향과는 역행될 우려가 높아 이 또한 여의치 않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정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공기업이나 정부 투자기관을 통한 공동 구매하지 않고 민간 공급사와 거래하는 곳은 비싼 가격에 수소를 구매해야 하는 입장에 놓이게 된다. 

수소충전소의 판매가격 잡음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이유인 셈이다. 

결국 주유소와 LPG충전소의 수소충전소 전환을 지원해 인프라 문제를 해결해 수소차 보급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은 물론 지역 실정과 충전소까지의 운송비 등 여건에 따른 시장 가격이 형성 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서둘러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