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LPG를 공급하는 수단이 용기에서 소형저장탱크로 탈바꿈된지 이미 오래다. 

SK가스를 비롯해 E1은 물론 정유사에서도 수요 확대를 위해 소형LPG저장탱크를 주요 거래처에 지원해 설치를 장려하거나 직접 거래처를 발굴해 설치하면서 2021년말 기준으로 9만7,662기로 설치 현황에 포함되지 않는 250kg 이하 용량까지 포함할 경우 10만개를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LPG가격 등락에 따라, 타 연료대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경우 산업체나 음식점 등 주요 거래처에서 철거되기 십상이다. 

연료비 부담을 낮추기 위한 주요 산업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의 고육지책인 셈이다. 

여기에다 거래중인 산업체나 음식점이 부도 피해를 입게 되면 애써 LPG만 공급하고 사용대금을 제때 회수하지 못해 발생하는 부실 채권도 LPG업계를 괴롭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을 제때 파악할 경우 공급된 LPG와 소형저장탱크를 철거해 손해를 일부 줄일수도 있지만 자칫 관리가 소홀할 경우 압류로 인해 애써 설치한 소형저장탱크를 비롯한 LPG설비와 가스를 반환받기 어려워진다. 

더 큰 문제는 충전, 판매 등 LPG업계의 생계를 위협하는 우려 요소는 노후 주택 재정비나 택지개발이 이뤄질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LPG가 아니라 도시가스로 전환돼 용기나 소형LPG저장탱크를 가리지 않고 철거되는 문제다. 

이런 저런 이유로 철거된 소형LPG저장탱크는 유휴 부지에 쌓여가고 탱크 내 LPG 잔가스가 남아 있으면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많은 돈을 들여 구입한 소형LPG저장탱크를 폐기할 수도 없어  보관하고 있지만 철거된 탱크는 공기와 접촉하고 제대로 관리가 안되면서 부식을 촉진시키기 십상이다. 

또한 사업자가 바뀌거나 거래처 변동이 이뤄지면서 장부상으로 갖고 있는 소형저장탱크가 어디에 있는지 제대로 파악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지적이 없지 않다. 

심지어 가스안전공사의 검사도 받지 않고 설치되는 소형저장탱크도 현장에는 비일비재해 자칫 사고 발생시 애꿎은 소비자들은 피해 구제도 받기 어려운 상황이 연출될 우려도 적지 않다. 

물량 확대나 경비 절감을 위해 앞다퉈 설치한 소형저장탱크에 대한 제대로 된 관리가 필요하다. 

철거된 소형LPG저장탱크가 짧은 시간에 다시 재사용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 몰라도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이를 재순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LPG수입사는 충전, 판매 등 LPG업계가 서둘러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해 보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